김부겸 “여당서 누가 나와도 강자…한분 한분께 진심 호소”
4선 중진인 새누리당 이한구 의원의 내년 20대 총선 불출마 선언으로 ‘지역주의 타파’를 기치로 고군분투 중인 새정치민주연합 김부겸 전 의원에게로 새삼 관심이 쏠리고 있다.그가 내년 총선을 겨냥해 공을 들이는 지역구가 공교롭게도 바로 이 의원이 터줏대감으로 있는 대구 수성갑이기 때문이다.
지난 2012년 19대 총선 때 ‘대구의 강남’으로 불리는 수성갑에서 이 의원과 맞붙어 야당 후보로서는 이례적으로 높은 39.9%의 높은 득표율을 기록하며 만만찮은 경쟁자임을 안팎에 알린 바 있다.
이 의원의 불출마 선언과는 관계없이 그동안 김 전 의원이 보여준 정치적 행보와 무게만으로도 야당의 ‘미션 임파서블’이었던 대구 입성이 꼭 불가능하지만은 않다는 게 주변의 조심스러운 관측이다.
수도권 3선 의원(경기 군포)이라는 기득권을 버리고 고향으로 내려온 김 전 의원은 지난해 6·4 지방선거 대구시장 후보로 출마해 야당 후보 역대 최다인 40.3%의 득표로 지역에 완전히 뿌리를 내렸다는 평가를 받았다.
최근에는 당 대표 후보로 출마해달라는 다수 의원들의 간청에도 “무엇보다 대구 수성갑에서 당선돼 저의 오랜 꿈이었던 지역주의의 벽을 넘어선 정치를 실현하고 싶다”며 고사해 지역 유권자들로부터 호평을 듣기도 했다.
야권의 차기 대권후보 중 하나로까지 언급될 정도로 정치적 위상이 높아졌다는 점 역시 총선에서 플러스 요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
더구나 호남이 먼저 새누리당 이정현 (전남 순천·곡성)의원에게 문을 열어줬다는 사실이 대구에서도 자극제로 작용할 수 있다.
만약 김 전 의원이 내년 총선에서 승리하면 1996년 자유민주연합이 대구에서 8석을 석권한 지 20년 만에 대구에서 ‘야당 깃발’을 올리게 된다. 민주당계 야당으로는 중선거구제였던 1985년 총선에서 신한민주당 유성환(대구 서구·중구), 신도환(수성구·남구) 의원이 선출된 이후 31년 만이다.
그러나 이 의원의 불출마가 반드시 김 전 의원에게 ‘기회’가 될지는 예단하기 어렵다. 당장 김문수 새누리당 보수혁신특별위원장과 안종범 청와대 경제수석비서관 등 만만찮은 후보군의 이름이 오르내리고 있어서다. 자칫 더 센 경쟁자를 만날 수도 있다는 이야기다.
대구 사정에 밝은 한 야당 관계자는 15일 “이 의원이 지역구 관리를 잘 안해 오히려 김 전 의원이 이길 가능성이 있다고 봤는데 오히려 새누리당이 새로운 후보를 내면 쉽지 않을 수 있다”며 “이 의원의 불출마가 반드시 청신호는 아니다”라고 전했다.
더구나 박 대통령의 고향이자 새누리당의 뿌리나 다름없는 대구에서 야당 의원의 진입을 허용하지 않으려는 지역 정서가 막판 들끓을 가능성도 있다.
이를 의식해 김 전 의원은 새누리당 사정에 일희일비하지 않고 한껏 몸을 낮춘 채 바닥 민심 다지기에 주력하고 있다.
김 전 의원은 연합뉴스와 한 통화에서 “새누리당이 누굴 내세우더라도 다 강자”라며 “한분 한분 시민들에게 내 진심을 호소하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