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 도발하면 그곳이 바로 무덤”…실전방불 해군 훈련 [포토+8]

“적 도발하면 그곳이 바로 무덤”…실전방불 해군 훈련 [포토+8]

입력 2015-03-25 13:29
수정 2015-03-25 14: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천안함 피격사건 5주년 앞두고 서해서 해상기동훈련 실시

해군은 천안함 피격사건 5주년을 이틀 앞둔 24일 서해상에서 대규모 해군 전력이 참가한 가운데 해상기동훈련을 실시했다.

이미지 확대
24일 오후 경기도 태안 서쪽 50마일 덕적도 인근 해역에서 천안함 5주기 서해 해상기동훈련이 열렸다. 참가한 신성함에서 대공 사격훈련이 실시돼 76미리와 40미리 함포에서 불을 뿜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24일 오후 경기도 태안 서쪽 50마일 덕적도 인근 해역에서 천안함 5주기 서해 해상기동훈련이 열렸다. 참가한 신성함에서 대공 사격훈련이 실시돼 76미리와 40미리 함포에서 불을 뿜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이미지 확대
천안함 피격사건 5주기를 앞두고 평택 해군 2함대사령부가 서해 해상기동훈련을 실시했다. 24일 태안 서방해역에서 한국형 구축함(DDH-I)인 을지문덕함이 대공 사격을 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천안함 피격사건 5주기를 앞두고 평택 해군 2함대사령부가 서해 해상기동훈련을 실시했다. 24일 태안 서방해역에서 한국형 구축함(DDH-I)인 을지문덕함이 대공 사격을 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적의 해·공군 전력이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침범하는 상황을 가정해 진행된 이번 훈련은 천안함 피격 5주년을 상기하는 동시에 천안함 용사들이 피로써 지킨 영해를 반드시 사수하겠다는 의지를 다지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됐다.

태안 서방 90㎞ 해상에서 실시된 이번 훈련에는 한국형 구축함 을지문덕함(3천200t급)과 신형호위함 인천함(2천500t급), 호위함 청주함(1천800t급), 그리고 천안함과 동급의 초계함인 신성함(1천200t급), 유도탄고속함 한상국함(450t급), 고속정(150t급) 등 10여척의 함정이 참여했다.

국방부 공동취재단이 동승한 청주함과 신성함은 이날 평택 2함대사령부에서 출항해 서해상에서 경계근무를 수행중이던 을지문덕함 등과 만나 함대를 이뤄 전투배치와 기동훈련을 펼쳤다.

10여척의 함정들은 꼬리에 꼬리를 문 채 한순간도 멈추지 않고 대형을 바꿔가며 고난도의 전투배치 및 기동훈련을 전개했다.

이어 대공훈련을 시작으로 사격훈련이 진행됐다.

훈련계획에 따라 사거리 23㎞의 127㎜함포를 비롯해 사거리 16㎞의 76㎜함포와 사거리 12㎞의 40㎜함포가 불을 뿜었다.

함포 사격의 충격이 채 가시기도 전, 공동취재단이 올라탄 신성함과 청주함 선체가 기우뚱하며 크게 선회하는가 싶더니 어느새 다른 함정들과 함께 어우러져 대잠훈련 대형을 갖췄다.

”총원 전투배치!”, “총원 전투배치!” 함장의 명령과 장병들의 복창이 또 한 번 이어지면서 가상의 적 잠수함을 겨냥한 폭뢰가 투하되고 커다란 폭발음과 함께 물기둥이 치솟았다.

마지막 대함 사격훈련 때에는 을지문덕함의 127㎜ 함포를 비롯해 각 함정의 76㎜함포와 40㎜함포가 다시 한번 화염을 내뿜었다.

천안함 피격 당시 사망한 고(故) 민평기 상사의 어머니 윤청자 여사가 기탁한 아들의 사망보험금과 성금으로 2함대 초계함에 2정씩 장착된 ‘3·26 기관총’으로 불리는 K-6도 사격훈련에 동참했다.

3·26 기관총 사수인 양만석(31) 중사는 “적이 도발하면 그동안 훈련한 대로 적함을 향해 방아쇠를 당기겠다”며 “우리는 준비돼 있고, 내 손으로 반드시 명중시키겠다”고 말했다.

이번 훈련을 지휘한 강석봉 제23전투전대장(대령)은 “우리 해군은 지난 5년간 절치부심하며 적을 처절하게 응징할 수 있는 대비태세를 갖춰왔다”면서 “불굴의 의지로 필승해군의 승전 전통을 이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