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5도 근무 전·현직 해병들 ‘허술한 전력’ 증언
‘40년도 넘은 대포병레이더(AN/TPQ37), 북한에 닿지도 않는 20㎜ 발칸포·미사일, 5000여명 남짓한 병력….’북한의 연평도 공격을 계기로 되돌아본 서해 5도 방어 전력의 현주소다. 군이 해안포에 맞설 사실상 유일한 대응책으로 ‘K9 자주포’ 증강 계획을 밝혔지만, 연평도와 백령도에서 근무중이거나 근무했던 전직 및 현직 해병대원들은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K9 자주포의 포탄과 보급 등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데다 전투기 등 항공 전력이 뒷받침되지 않아 해안포 공격이 무용지물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해군 제공
K-9 자주포
해군 제공
해군 제공

연합뉴스
불꽃 내뿜는 K-9 자주포
연합뉴스
연합뉴스

한미연합훈련 개시일인 28일 오전 연평도 해병대 K-9 자주포대에서 장병들이 경계준비를 하고 있다.
연평도=연합뉴스
긴장감 감도는 K-9 포대
한미연합훈련 개시일인 28일 오전 연평도 해병대 K-9 자주포대에서 장병들이 경계준비를 하고 있다.
연평도=연합뉴스
한미연합훈련 개시일인 28일 오전 연평도 해병대 K-9 자주포대에서 장병들이 경계준비를 하고 있다.
연평도=연합뉴스
[포토] 한미연합훈련 실시…美항공모함의 위력
연평도 등에서 10여년간의 해병대 근무를 마치고 최근 전역한 A중사는 “K9 자주포 몇 개 늘린다고 동굴 안에 숨은 북한의 해안포에 맞서 싸우기는 힘들다. 자주포의 포탄도 부족하고 이를 관리하고 옮길 시설과 장비 등도 허술하다.”면서 “전쟁으로 확전되면 우리 군은 실제 대응할 정도의 전력은 안 되고 미군이 올 때까지 시간을 버는 ‘총알받이’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털어놨다.

인천 연안부두여객터미널에서 만난 한 해병은 현재 전 대원에게 ‘함구령’이 내려진 상태라며 “K9이 최신형 자주포라지만 증강해도 큰 의미는 없다.”면서 작은 섬이라 병력 확대보다 첨단 무기 배치가 관건인데 여태까지 육군에만 예산을 쏟아붓고 실제 최전방인 이곳에는 제대로 싸울 수 있는 무기조차 지급하지 않았다.”고 담담하게 말했다. 또 “미국만 믿는, 방어 위주의 교전원칙도 문제”라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항공, 해상 등 삼위일체의 전력 보강을 주문했다. 김연수 국방대학교 안전보장대학원 교수는 “서해 5도 방어를 위해서는 사정거리가 긴 K9과 같은 최신형 무기 확대뿐 아니라 항공전력도 함께 증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인천 백민경·윤샘이나기자 white@seoul.co.kr
2010-11-29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