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크론 확산… 155國 서울장관회의 화상 전환

오미크론 확산… 155國 서울장관회의 화상 전환

문경근 기자
문경근 기자
입력 2021-12-01 21:10
수정 2021-12-02 06: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아프리카 포럼’은 내년으로 연기
외교부 국제 행사 일정 잇따라 차질

오미크론
오미크론
정부가 1일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오미크론’의 확산으로 다음주 개최 예정이던 대규모 대면 국제행사를 화상회의 방식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외교부에 따르면 오는 7~8일 155개국 외교·국방장관을 초청해 대면으로 진행할 예정이었던 ‘서울 유엔평화유지(PKO) 장관회의’는 전면 화상회의 방식으로 진행된다. 장피에르 라크루아 유엔 평화활동국(DPO) 사무차장, 아툴 카레 유엔 활동지원국(DOS) 사무차장, 캐서린 폴라드 유엔 운영전략·정책·감사국(DMSPC) 사무차장 등 유엔 사무차장 세 명만 한국을 찾는다.

당초 지난 4월 개최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로 한 차례 연기됐다. 정부는 155개국을 대상으로 조율 작업을 해야 하는 만큼 또 연기하는 것에 상당한 부담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유엔도 연기보다 화상회의 전환을 선호한 것으로 전해졌다. 유엔 평화유지 장관회의는 2015년 버락 오바마 당시 미국 대통령과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공동주최한 ‘평화유지 정상회의’의 후속 회의다. 우리나라에서 열리는 역대 최대 규모의 장관급 회의로 아시아에서는 처음 개최된다.

한편 외교부는 오는 9~10일 예정됐던 ‘한·아프리카 포럼’과 20~22일 재외공관장 회의를 내년으로 연기했다. 한·아프리카 포럼은 정부가 가나, 남아프리카공화국(남아공), 르완다, 리비아, 말라위, 세네갈, 수단, 이집트, 차드, 케냐, 코모로, 콩고, DR콩고 등 아프리카 국가들을 초청, ‘코로나 이후 시대 한·아프리카 파트너십 강화’ 등을 주제로 국제행사를 준비했었다. 하지만 참가국인 남아공과 말라위에서 오미크론이 발생되면서 개최 여부를 두고 장고를 거듭했고, 결국 내년에 다시 열기로 했다.



2021-12-02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