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으로 단일화 땐 尹 44.8%, 李 40.4%… 安으로 단일화 땐 安 41.9%, 李 38.3%

尹으로 단일화 땐 尹 44.8%, 李 40.4%… 安으로 단일화 땐 安 41.9%, 李 38.3%

입력 2022-02-27 18:00
수정 2022-03-02 14: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단일화 3자대결 때 지지율

尹, 安과 단일화했을 때보다
안 했을 때 李에 더 크게 앞서

단일화 찬반, 43.8%로 동률
단일화=필승론 회의 커진 듯
尹 지지 74.9% “단일화해야”
李 지지 73.8% “단일화 반대”

이미지 확대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와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가 단일화를 했을 때보다 하지 않았을 때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더 많이 앞서는 것으로 27일 나타났다.

서울신문이 한국갤럽에 의뢰해 지난 25~26일 조사(전국 유권자 1004명,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 포인트,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참조)한 결과에 따르면 윤 후보로 단일화할 경우 지지도는 윤 후보 44.8%, 이 후보 40.4%, 심 후보 7.8%로 조사됐다. 안 후보로 단일화할 경우엔 안 후보 41.9%, 이 후보 38.3%, 심 후보 9.0%였다. 단일화가 안 된 4자 대결에서 윤 후보(42.3%)와 이 후보(37.2%)의 격차(5.1% 포인트)가 윤 후보 또는 안 후보로 단일화했을 경우의 이 후보와의 차이(각각 4.4% 포인트, 3.6% 포인트)보다 큰 것이다. 수치상으로만 보면, 오차범위 내이긴 하지만 윤 후보 입장에서는 단일화를 하는 게 오히려 불리한 셈이다. 단일화 결렬 과정에서 상처를 입은 윤·안 측 지지자들이 야권 단일후보를 따라가지 않는 경향이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실제로 단일화가 극적으로 성사된다면 시너지 효과가 나타나면서 여론이 바뀔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야권 후보 단일화 자체에 대한 질문에 단일화를 해야 한다는 의견(43.8%)과 하지 않는 것이 좋다는 의견(43.8%) 동률로 팽팽하게 나타난 것도 ‘단일화=필승론’에 회의를 던지는 대목이다. 윤 후보 지지층에서는 74.9%가 단일화를 해야 한다고 응답했고, 반대는 17.2%에 그쳤다. 반면 안 후보 지지층에서는 해야 한다는 의견이 48.1%, 반대가 42.7%로 팽팽한 편이었다. 이 후보 지지층은 73.8%가 단일화에 반대했고, 9.5%만이 찬성했다. 심 후보 지지층은 57.7%가 반대 의견을, 22.3%가 찬성 의견을 냈다.

지지 정당별로 보면, 국민의힘 지지층은 76.9%가 단일화 찬성에 힘을 실은 데 반해 16.4%만 단일화에 반대했다. 반면 국민의당 지지층은 59.2%가 단일화에 찬성했고, 36.9%는 반대했다.

민주당 지지층은 72.6%가 단일화에 반대했고 11.2%만 찬성했다. 정의당 지지층도 69.3%가 단일화 반대에 응답했고, 20.6%만 찬성 의견을 냈다.

중도층에서 단일화에 대해 찬성(43.5%)보다 반대(46.2%)가 많은 게 중립적인 민심으로 해석된다. 보수층의 66.2%는 단일화를 해야 한다는 쪽에 힘을 실었고, 24.3%가 반대했다. 진보층에서는 단일화하지 말아야 한다는 쪽이 67.2%, 찬성은 17.3%였다.

지역별로는 단일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대구·경북(58.8%), 서울(54.9%), 대전·세종·충청(50.3%)에서 절반이 넘었다. 윤 후보 지지율이 높은 곳에서 단일화 찬성 여론이 컸다. 반면 단일화 반대 의견은 유일하게 호남에서만 67.2%로 절반이 넘었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단일화 찬성 여론이 가장 높은 건 ‘60세 이상’으로 58.7%였다. 반대 여론은 40대(59.6%)와 30대(57.3%) 순으로 조사됐다. 20대(찬성 43.4%, 반대 41.4%)와 50대(찬성 46.3%, 반대 41.8%)는 의견이 팽팽하게 갈렸다.

윤 후보로 단일화 시 안 후보 지지층의 36.4%가 윤 후보를 지지한 반면 안 후보로 단일화 시 윤 후보 지지층의 66.7%가 안 후보를 지지했다. 또한 안 후보 지지층 29.3%는 이 후보 지지로 이동했지만, 윤 후보 지지층은 6.7%만 이 후보 지지로 옮겼다. 안 후보 지지층의 윤 후보 충성도가 윤 후보 지지층의 안 후보 충성도보다 낮다는 의미다.

이재명·윤석열·심상정 3자 가상 대결에서 윤 후보는 40대를 제외하고 모든 연령에서 이 후보를 앞섰다. 이재명·심상정·안철수 3자 대결에서 안 후보는 40대와 50대를 제외하고 모든 연령에서 이 후보를 앞섰다.

서울신문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국갤럽에 의뢰한 이번 여론조사는 지난 25~26일 전국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남녀 유권자 1004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남녀 각각 500명(49.8%), 504명(50.2%)이며 연령별로는 18~29세 16.9%, 30대 15.1%, 40대 18.3%, 50대 19.5%, 60세 이상이 30.1%다. 조사는 100% 무선전화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고, 피조사자 표본은 3개 통신사에서 제공한 휴대전화 가상번호 프레임에서 무작위 추출했다.응답률은 24.0%(4184명 중 1004명 응답),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 포인트다. 통계보정은 2022년 1월 행정안전부 발표 주민등록인구 기준으로 성·연령·지역별 가중치 부여 방식(셀 가중)으로 이뤄졌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한국갤럽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2022-02-28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