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셋째 아들 김정은에게 인민군 대장 칭호를 부여한 것을 두고 중국에서 활동하는 북한 인사들은 “파격적인 조치”라며 의외라는 반응을 보였다.
선양(瀋陽)의 한 북한 무역 일꾼은 28일 연합뉴스 기자와 만나 “위성방송을 통해 김 위원장이 ‘청년대장’에게 대장 칭호를 부여했다는 소식을 들었다”며 “이번 당 대표자회에서 청년대장이 주요 직책을 맡을 것이라고는 예상했지만 대장이 되리라고는 예상하지 못했다”고 놀라워했다.
또 다른 북한 인사도 “당이나 내각의 직책을 맡는 건 이해할 수 있지만 군은 특수한 조직 아니냐”며 의외라는 반응을 보이면서 “후계 구도를 조속히 정착시키기 위해 속도를 내는 것 같다”고 평가했다.
북한 주재원들과 밀접하게 교류하는 한 중국인도 “김정은에게 대장 칭호가 부여된 것에 대해 중국 내 북한 주재원들이 한결같이 놀랍다는 반응을 보였다”고 전했다.
그는 “중국 내 적지 않은 북한 인사들이 외신 보도에도 불구 김정은의 후계 세습에 부정적이거나 믿지 않으려는 태도를 보여왔다”며 “대장 칭호 부여로 김정은의 후계 체제가 급속히 굳어지면서 오히려 놀라는 분위기”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후계 체제 확립을 위해 인민군 대장이 되는 것이 당연하다는 반응들이지만 일각에서는 ‘총 자루도 제대로 잡아보지 못한 젊은 나이에 어떻게 대장이 될 수 있느냐’고 반문하는 등 부정적인 기류도 있다”고 귀띔했다.
인민군 칭호 부여에 대한 중국 내 대북 전문가들의 분석은 엇갈렸다.
익명을 요구한 랴오닝(遼寧)성의 한 대북 전문가는 “선군 정치를 기치로 내세운 북한의 특성상 후계자가 되려면 당연히 군의 직책이 있어야 할 것”이라며 “당 정치국 상무위원이나 비서국 비서 등을 맡기에 앞서 대장 칭호를 부여한 것은 순조로운 정권 계승을 위해 필수적인 조치”라고 말했다.
중국의 한 정보 소식통은 “당 대표자회가 연기됐던 것은 후계 문제를 둘러싼 내부 갈등이 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며 “김정은이 대장이 되고 40명 가까운 군 장성급 인사가 무더기로 승진한 것은 김정은 후계 세습 반대파와 찬성파 간 타협의 결과물인 것 같다”고 평가했다.
그는 김정은의 대장 칭호 부여에 대해 “김정은 세습에 반대하는 군부 내 세력을 통제하는 한편 김정은의 등장으로 세대교체가 이뤄지기를 희망하며 그에게 충성을 서약한 군부 내 소장파들의 적극적인 지지를 이끌어내려는 계산도 깔린 것 같다”고 분석했다.
대장 칭호 부여로 이번 당 대표자회에서 김정은의 후계 구도가 구체화 될 것으로 전망한 중국의 대북 전문가들은 그러나 대외 개방을 비롯한 북한의 정책 기조에는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전망했다.
연변(延邊)조선족 자치주의 한 관료는 “김정일 위원장이 두 차례 중국 방문을 통해 중국 동북지역과의 경제 협력을 강화하려는 의지를 보였던 만큼 당 대표자회를 계기로 대외 개방을 위한 구체적인 조치들이 마련되기를 희망한다”면서도 “그러나 북한의 복잡한 사정을 감안할 때 급속하게 개방에 나서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신의주와 접경인 단둥(丹東)시의 한 관계자는 “북한이 올 초 위화도와 황금평의 자유무역구 개발 추진에 의욕을 보였으나 지금은 거론조차 안 되고 있다”며 “이번 당 대표자회에서 어떤 결론이 나든 대외 개방과 관련해 급격한 변화는 기대하기 어렵다는 게 단둥에서 활동하는 북한 인사들의 전언”이라고 소개했다.
연합뉴스
선양(瀋陽)의 한 북한 무역 일꾼은 28일 연합뉴스 기자와 만나 “위성방송을 통해 김 위원장이 ‘청년대장’에게 대장 칭호를 부여했다는 소식을 들었다”며 “이번 당 대표자회에서 청년대장이 주요 직책을 맡을 것이라고는 예상했지만 대장이 되리라고는 예상하지 못했다”고 놀라워했다.
또 다른 북한 인사도 “당이나 내각의 직책을 맡는 건 이해할 수 있지만 군은 특수한 조직 아니냐”며 의외라는 반응을 보이면서 “후계 구도를 조속히 정착시키기 위해 속도를 내는 것 같다”고 평가했다.
북한 주재원들과 밀접하게 교류하는 한 중국인도 “김정은에게 대장 칭호가 부여된 것에 대해 중국 내 북한 주재원들이 한결같이 놀랍다는 반응을 보였다”고 전했다.
그는 “중국 내 적지 않은 북한 인사들이 외신 보도에도 불구 김정은의 후계 세습에 부정적이거나 믿지 않으려는 태도를 보여왔다”며 “대장 칭호 부여로 김정은의 후계 체제가 급속히 굳어지면서 오히려 놀라는 분위기”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후계 체제 확립을 위해 인민군 대장이 되는 것이 당연하다는 반응들이지만 일각에서는 ‘총 자루도 제대로 잡아보지 못한 젊은 나이에 어떻게 대장이 될 수 있느냐’고 반문하는 등 부정적인 기류도 있다”고 귀띔했다.
인민군 칭호 부여에 대한 중국 내 대북 전문가들의 분석은 엇갈렸다.
익명을 요구한 랴오닝(遼寧)성의 한 대북 전문가는 “선군 정치를 기치로 내세운 북한의 특성상 후계자가 되려면 당연히 군의 직책이 있어야 할 것”이라며 “당 정치국 상무위원이나 비서국 비서 등을 맡기에 앞서 대장 칭호를 부여한 것은 순조로운 정권 계승을 위해 필수적인 조치”라고 말했다.
중국의 한 정보 소식통은 “당 대표자회가 연기됐던 것은 후계 문제를 둘러싼 내부 갈등이 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며 “김정은이 대장이 되고 40명 가까운 군 장성급 인사가 무더기로 승진한 것은 김정은 후계 세습 반대파와 찬성파 간 타협의 결과물인 것 같다”고 평가했다.
그는 김정은의 대장 칭호 부여에 대해 “김정은 세습에 반대하는 군부 내 세력을 통제하는 한편 김정은의 등장으로 세대교체가 이뤄지기를 희망하며 그에게 충성을 서약한 군부 내 소장파들의 적극적인 지지를 이끌어내려는 계산도 깔린 것 같다”고 분석했다.
대장 칭호 부여로 이번 당 대표자회에서 김정은의 후계 구도가 구체화 될 것으로 전망한 중국의 대북 전문가들은 그러나 대외 개방을 비롯한 북한의 정책 기조에는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전망했다.
연변(延邊)조선족 자치주의 한 관료는 “김정일 위원장이 두 차례 중국 방문을 통해 중국 동북지역과의 경제 협력을 강화하려는 의지를 보였던 만큼 당 대표자회를 계기로 대외 개방을 위한 구체적인 조치들이 마련되기를 희망한다”면서도 “그러나 북한의 복잡한 사정을 감안할 때 급속하게 개방에 나서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신의주와 접경인 단둥(丹東)시의 한 관계자는 “북한이 올 초 위화도와 황금평의 자유무역구 개발 추진에 의욕을 보였으나 지금은 거론조차 안 되고 있다”며 “이번 당 대표자회에서 어떤 결론이 나든 대외 개방과 관련해 급격한 변화는 기대하기 어렵다는 게 단둥에서 활동하는 북한 인사들의 전언”이라고 소개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