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24일 광복 직후 고국으로 돌아가던 조선인 노동자들의 목숨을 앗아간 우키시마마루(浮島丸)호 사건 70주년을 맞아 일본 정부의 사죄와 배상을 촉구했다.
우키시마마루호 사건은 1945년 8월 일본 교토(京都)항 부근에서 광복을 맞아 귀국 길에 오른 강제동원 조선인 수천 명을 태운 일본 해군 수송선 우키시마마루호가 마이즈루 앞바에서 폭발해 침몰한 사건이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일본 당국의 의도적인 조선인 대량학살 흉계에 따라 조직되고 집행된 이 사건에 의해 일본에 끌려가 강제노동에 시달린 징용자들을 포함한 수천명의 조선 사람들이 검푸른 바다에 수장됐다”고 비난했다.
중앙통신은 이어 “우키시마마루호 폭침 사건은 과거 일제의 조선인 학살 만행의 단적 실례에 지나지 않는다”며 간토(關東) 대지진과 강제 징용자 살육 사건 등도 언급했다.
북한은 “일본은 오늘까지도 과거 역사를 부정하고 왜곡하는 책동에 광분하고 있다”며 “일본은 죄 많은 과거사를 사죄하고 배상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연합뉴스
우키시마마루호 사건은 1945년 8월 일본 교토(京都)항 부근에서 광복을 맞아 귀국 길에 오른 강제동원 조선인 수천 명을 태운 일본 해군 수송선 우키시마마루호가 마이즈루 앞바에서 폭발해 침몰한 사건이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일본 당국의 의도적인 조선인 대량학살 흉계에 따라 조직되고 집행된 이 사건에 의해 일본에 끌려가 강제노동에 시달린 징용자들을 포함한 수천명의 조선 사람들이 검푸른 바다에 수장됐다”고 비난했다.
중앙통신은 이어 “우키시마마루호 폭침 사건은 과거 일제의 조선인 학살 만행의 단적 실례에 지나지 않는다”며 간토(關東) 대지진과 강제 징용자 살육 사건 등도 언급했다.
북한은 “일본은 오늘까지도 과거 역사를 부정하고 왜곡하는 책동에 광분하고 있다”며 “일본은 죄 많은 과거사를 사죄하고 배상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