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회ㆍ양동마을 세계유산 등재 확정

하회ㆍ양동마을 세계유산 등재 확정

입력 2010-08-01 00:00
수정 2010-08-01 08: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안동 하회마을과 경주 양동마을이 ‘한국의 역사마을’로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됐다. 이로써 한국은 10번째 세계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이미지 확대
하회.양동마을 세계문화유산 등재 확정 안동 하회마을과 경주 양동마을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됐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WHC)는 31일(현지시간) 브라질 브라질리아에서 열린 제34차 회의에서 ‘한국의 역사마을: 하회와 양동(Historic Villages of Korea : Hahoe and Yangdong)’에 대한 세계문화유산(World Cultural Heritage) 등재를 확정했다. 한국의 10번째 세계유산이다. 사진은 하회마을 충효당(보물 제414호)의 솟을대문과 행랑채. 서애 유성룡이 살았던 이 집은 우리 나라의 대표적인 전통가옥 중의 하나이다.  연합뉴스
하회.양동마을 세계문화유산 등재 확정
안동 하회마을과 경주 양동마을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됐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WHC)는 31일(현지시간) 브라질 브라질리아에서 열린 제34차 회의에서 ‘한국의 역사마을: 하회와 양동(Historic Villages of Korea : Hahoe and Yangdong)’에 대한 세계문화유산(World Cultural Heritage) 등재를 확정했다. 한국의 10번째 세계유산이다. 사진은 하회마을 충효당(보물 제414호)의 솟을대문과 행랑채. 서애 유성룡이 살았던 이 집은 우리 나라의 대표적인 전통가옥 중의 하나이다.
연합뉴스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WHC)는 31일(현지시각) 브라질 수도 브라질리아에서 열린 제34차 회의에서 한국이 신청한 ‘한국의 역사마을 : 하회와 양동(Historic Villages of Korea : Hahoe and Yangdong)’에 대한 세계문화유산(World Cultural Heritage) 등재를 확정했다.

회의 의장을 맡은 주카 페헤이라 브라질 문화부 장관은 ‘한국의 역사마을-하회와 양동’ 등재 관련 문안을 읽고 참석자들의 의견을 물은 뒤 별다른 이의가 제기되지 않음에 따라 등재를 발표했다.

WHC의 자문기구인 ICOMOS(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가 지난 6월 WHC에 제출한 보고서에서 하회마을과 양동마을에 대해 ‘보류(refer)’ 결정을 내렸으나, WHC는 이를 뒤집고 ‘등재’를 결정했다.

당초 ICOMOS도 하회마을과 양동마을의 역사ㆍ문화적 가치와 대표적 양반 씨족마을인 두 마을이 한데 묶여 ‘연속유산’으로 신청되어야 하는 이유 등은 공감했으나 행정구역이 다른 두 마을을 통합관리하는 체계가 없는 점 등을 우려했다.

이미지 확대
‘세계유산’ 하회마을 전경 31일(현지시간) 브라질 브라질리아에서 열린 제34회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회의에서 양동마을과 함께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안동 하회마을의 전경. 2010.8.1 << 문화부기사 참조. 문화재청 제공 >>  연합뉴스
‘세계유산’ 하회마을 전경
31일(현지시간) 브라질 브라질리아에서 열린 제34회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회의에서 양동마을과 함께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안동 하회마을의 전경. 2010.8.1 << 문화부기사 참조. 문화재청 제공 >>
연합뉴스


결국 이런 ICOMOS의 우려에 대해 한국이 통합관리 체계인 ‘역사마을보존협의회’를 마련하는 한편, 기존에도 경상북도와 문화재청이 관여하는 통합적 체계가 있었음을 보여주는 등 신속하게 대처한 것이 효과를 본 것으로 평가된다.

우리 정부 대표단을 이끌고 참석한 이건무 문화재청장은 감사의 인사를 통해 “’한국의 역사마을-하회와 양동’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면서 “두 마을의 가치를 인정해준 세계유산위원회 21개 위원국과 유네스코 관계자들에게 감사의 뜻을 전한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하회.양동마을, 세계유산 등재한 WHC 회의  31일(현지시간) 브라질 브라질리아에서 열린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WHC) 34차 회의 모습. 이날 회의는 경북 안동 하회마을과 경주 양동마을을 ‘한국의 역사마을 : 하회와 양동’이라는 이름으로 세계문화유산 목록에 등재하기로 결정했다. 2010.8.1 << 문화부기사 참조. 문화재청 제공 >>  연합뉴스
하회.양동마을, 세계유산 등재한 WHC 회의
31일(현지시간) 브라질 브라질리아에서 열린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WHC) 34차 회의 모습. 이날 회의는 경북 안동 하회마을과 경주 양동마을을 ‘한국의 역사마을 : 하회와 양동’이라는 이름으로 세계문화유산 목록에 등재하기로 결정했다. 2010.8.1 << 문화부기사 참조. 문화재청 제공 >>
연합뉴스


이 청장은 이어 “대한민국 정부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한국의 역사마을-하회와 양동’의 주변 경관을 잘 보존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등재 신청서 작성에 참여한 서울대 전봉희 교수는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본산지인 중국보다 더 철저히 지켜온 한국의 전통 유교문화가 세계의 인정을 받은 셈”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두 마을의 등재로 한국의 세계유산은 석굴암ㆍ불국사, 해인사 장경판전, 종묘(이상 1995), 창덕궁, 수원 화성(1997), 경주역사유적지구, 고창ㆍ화순ㆍ강화 고인돌 유적(이상 2000), 그리고 제주 화산섬과 용암 동굴(2007), 조선왕릉(2009)에 이어 통산 10번째 세계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김용호 서울시의원, ‘제1회 2025 서울 ESG 경영포럼’ 참석 축사…서울시 정책기조 실현 강조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호 시의원(국민의힘, 용산1)은 지난 18일 한국프레스센터 매화홀(19층)에서 개최된 ‘제1회 2025 서울 ESG 경영포럼’에 참석해 축사를 전했다. 이번 포럼은 서울연구원이 주최하고, ‘신정부의 ESG 정책 기조와 서울시 ESG 경영 추진방향’을 주제로 ESG 경영 선도 도시 구현을 위한 정책 의제를 발굴하고 실효성 있는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관·산·학·연·민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서울시 ESG 경영의 방향성과 과제를 논의하는 뜻깊은 자리였다. 포럼에는 김 의원을 비롯해 서울연구원 오균 원장, 서울시 120다산콜재단 이이재 이사장, 지속가능경영학회 김영배 회장, ESG 콜로키움 김영림 의원대표(동작구의원), 서울시의회 박상혁 교육위원장과 장태용 행정자치위원장, 용산구의회 이미재·김송환 의원, 종로구의회 김하영 의원, 강동구의회 강유진 의원 등이 참석했으며, 서강대학교 송민섭 교수,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이종오 사무국장, 한국ESG평가원 손종원 대표, 국제사이버대학교 김수정 교수, 공기관 및 시민단체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김 의원은 축사에서 “기후위기와 사회적 불평등 문제가 심화
thumbnail - 김용호 서울시의원, ‘제1회 2025 서울 ESG 경영포럼’ 참석 축사…서울시 정책기조 실현 강조

브라질리아=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