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려운 이에게 맞는 일 돌아갈 때 보람”

“어려운 이에게 맞는 일 돌아갈 때 보람”

입력 2014-04-30 00:00
수정 2014-04-30 04: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55세에 마포구 직업상담사 시험 합격 조미령씨

“다시 하라면 절대 못할 것 같아요. 공부하는 동안 갈아 치운 볼펜만 50자루라니까요.”

조미령씨
조미령씨
돌아서면 가스불은 껐는지, 베란다 창을 안 닫아 비가 들이쳐 빨래를 다 적시는 건 아닌지 몇 차례나 화들짝 놀라 집으로 뛰어 들어올 나이. 쉰에 책을 펴고 공부를 시작했다. 29일 조미령(56·여) 마포구 일자리센터 상담사는 노동법 책을 뒤적이던 때를 떠올리며 웃었다. 사업 부도 등 집안에 이런저런 우환이 겹치면서 2009년 생활 전선에 뛰어들어야 했다. 가정주부로만 살았던 터라 반길 만한 일을 만나는 건 버거웠다. 1년 동안 심리상담 등 과목을 파헤쳐 자격증을 땄다. 서부고용센터에서 기간제 상담사를 거쳐 마포구 일자리센터로 자리를 옮긴 뒤 지난해 3월 마포구 직업상담사 시험에 당당히 합격했다. “엄청 기뻤죠. 여든다섯 되신 어머니가 ‘앞으로 어떻게 살아갈까’ 걱정하던 참이었거든요. 이런 걱정도 덜어 드리고, 저처럼 어려운 사정에 놓인 사람들에게 일자리를 알선해 주는 일을 하게 됐으니까요.”

조씨의 일은 1500여명의 구직자를 110여개의 구인업체와 짝지어 주는 것. 하루 20~30명에 이르는 구직자와의 상담에도 힘을 기울인다. 자신의 경험을 나누는 데도 인색하지 않다. 센터에서 진행하는 ‘취업역량강화를 위한 교육’도 맡았다. 여기서도 조씨는 “자신의 어려운 상황을 솔직하게 드러내 이런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나는 강인하고 성실하게 이겨 나가겠다는 의지를 보여 줘야 한다”는 지론을 편다.

힘들지만 보람찬 하루라 좋다. “눈이 좋지 않은 편인데 종일 컴퓨터와 씨름하다 퇴근해야 하니 힘들죠. 하지만 저처럼 나이 많고 형편이 어려운 사람에게 잘 맞는 일자리가 돌아갔을 때 정말 보람 있죠. 일자리는 늘 있습니다. 언제든 도전해 보세요.” 그런데 그렇게 고생해서 60세면 정년이다. 5년 일하는 셈인 게 좀 억울하지 않을까. “글쎄요. 남들에겐 ‘고작 5년’일지 몰라도, 제겐 ‘무려 5년’이에요. 일자리란 그런 겁니다. 제가 상담에 최선을 다하는 것 또한 그 때문이고요.”

조씨는 다시 구인 기업체 자료로 눈을 돌렸다.

조태성 기자 cho1904@seoul.co.kr
2014-04-30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