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자실 등 필수인력은 근무…병원측 “진료차질 없을 것”
서울대병원 노조가 23일 오전 서울 종로구 병원 본관에서 취업규칙 변경 동의 ‘강요’와 전직원 성과급제 도입에 반대하는 파업 출정식을 열고 무기한 파업에 들어갔다.
연합뉴스
파업 돌입하는 서울대병원 노조
23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에서 열린 총파업 출정식에서 파업에 참가한 노조원들이 병원 측에 ’성과급제 반대, 취업규칙 개악저지’등을 촉구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연합뉴스
서울대병원 파업 현장 지나가는 환자
23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에서 총파업 출정식이 열린 가운데 한 환자가 현장 옆을 지나가고 있다. 이날 출정식에서 서울대병원 노조는 병원 측에 ’성과급제 반대, 취업규칙 개악저지’ 등을 촉구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이날 출정식에서 서울대병원 노조는 병원 측에 ‘성과급제 반대, 취업규칙 개악저지’ 등을 촉구했다.
연합뉴스
23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에서 총파업 출정식이 열린 가운데 병원을 찾은 시민들이 좁은 통로를 통해 이동하고 있다.
이날 출정식에서 서울대병원 노조는 병원 측에 ‘성과급제 반대, 취업규칙 개악저지’ 등을 촉구했다.
연합뉴스
이날 출정식에서 서울대병원 노조는 병원 측에 ‘성과급제 반대, 취업규칙 개악저지’ 등을 촉구했다.
연합뉴스
중환자실과 응급실 전원을 비롯해 필수유지인력은 정상 근무했다.
노조는 “병원 측과 대화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했으나 병원장이 단체교섭과 서울지방노동위원회의 조정에 제대로 임하지 않는 등 협상에 진전이 없어 무기한 파업에 들어갈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또 “취업규칙을 노동자에게 불리하게 변경할 때 과반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는 근로기준법 조항 때문에 병원 측이 새 취업규칙에 동의할 것을 노동자들에게 강요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서울대병원은 정부의 방만경영 정상화계획 등에 따라 지난 2월 호봉보다 성과 중심으로 임금체계를 바꾸고 병원 쪽이 저성과자로 규정한 이는 승진하지 못하도록 하는 내용으로 취업규칙을 개정, 고용노동부에 신고한 바 있다.
노조는 이에 반대하며 9∼13일 파업 찬반투표를 진행한 결과 조합원 1천684명 중 89.3%(1천505명)가 참여해 91.2%가 찬성해 이번 파업에 들어가게 됐다.
노조는 병원 측에 ▲ 의료공공성 확충 ▲ 전직원 성과급제 도입 철폐 ▲ 취업 규칙 변경 강요 중단 ▲ 어린이병원 급식 직영전환 등을 요구하고 있다.
병원 측은 의사는 파업과 무관하고, 간호사의 참여율도 낮아 진료에 큰 차질이 없을 것으로 예상했다.
또 취업 규칙을 변경한 것이 정부의 공공기관 방만경영 정상화 정책을 이행하려는 것이라며 새 취업규칙은 이미 교직원 과반수의 동의를 얻었고 7월 시행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병원 측은 “이번 파업은 24일 예정인 민주노총 총파업과 연계된 정치적 목적의 파업이라 판단된다”며 “병원은 환자 진료에 차질이 가지 않도록 모든 방안을 강구하는 동시에 노조와도 대화를 통해 교섭이 원만하게 타결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