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이 24일 민주노총 총파업에 참여하기 위해 연가투쟁을 강행하기로 함에 따라 각 시도교육청도 학교에 교육부의 징계 방침을 전달하고 수업 결손 방안을 주문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23일 전국 시도교육청과 전교조 각 지부에 따르면 전교조 경기지부는 조합원 7천여명 가운데 약 20%인 1천400명이 연가투쟁에 참여하는 것을 목표로 조합원들을 독려하고 있다.
전교조 인천지부는 조합원 2천500여명 가운데 300여명이 연가투쟁에 참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전교조 광주지부는 4천300여명 조합원 가운데 30여명이, 전남지부는 5천500여명 가운데 200여명이 참여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100여명이 참가할 것으로 예상하는 전교조 경남지부는 창원과 거제에서 버스 1대씩을 투입해 상경하고 나머지는 개별 출발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대구와 경북에서는 각각 30명 안팎이 연가투쟁에 참여할 것으로 예상하고 관광버스를 임차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교조 제주지부는 24일 오전 10여명이 항공편을 이용해 연가투쟁에 참가한 뒤 25일 돌아올 예정이다.
전교조 강원지부 측은 “100여명이 연가투쟁에 참가할 예정”이라며 “공무원 연금에 대한 우려뿐만 아니라 세월호 참사 등 정부 정책에 대한 분노가 상승해 지부 사상 최대 규모의 연가 투쟁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에 대해 대부분의 시도교육청은 교육부의 징계 지침을 전달했고, 일부 시도교육청은 강경 대응을 예고했다.
대전시·세종시·충남도교육청은 연가와 조퇴를 불허한다는 교육부 지침을 학교에 보내고 엄정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대구시·경북도교육청도 연가를 불허하고 참여자에 대해서는 교육부의 지침에 따라 징계할 방침이다.
부산시교육청은 연가투쟁 당일 직원 2명을 서울로 보내 현황파악 등에 나설 계획이다.
경남도교육청은 징계방침을 담은 교육부 공문을 최근 학교에 보낸 상황이어서 연가투쟁 참가자에 대한 징계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
경남도교육청 한 관계자는 “학교장에게 연가를 내고 결재 여부에 상관없이 상경하는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에 참가자들 전원에 대한 징계방침을 밝힌 교육부 지침을 따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부 시도교육청은 교육부 지침만 전달하고 실제 징계절차를 밟을지 방침은 밝히지 않았다.
경기도교육청은 이날 오전 “교육부에서는 연가투쟁과 관련해 학교장 또는 교감이 소속 교원의 근무시간 중 집회참가를 위해 조퇴 또는 연가신청할 경우 불허하고 승인할 경우 징계 등 책임 부과 예정이라고 하오니 복무관리 시 참고하기 바란다”는 내용의 공문을 학교에 보냈다.
도교육청은 앞서 “(연가투쟁 참여로 교원들이) 관련 법령 위반으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복무관리 및 예방교육을 실시해주기 바란다”는 내용도 안내했다.
광주시교육청은 상대적으로 참여교사가 적은 점을 고려, 최대한 정상적인 연가는 보장하기로 했지만 복무 위반이 발생하지 않도록 일선 학교에 알릴 방침이다.
집단 연가나 조퇴에 따른 수업 결손을 막는 방안도 강구되고 있다.
대구시교육청은 수업을 대체할 인력을 지원할 계획이다. 반면 경북도교육청은 참여 교사가 소수여서 학교에서 수업시간을 조정하면 큰 차질이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경기도교육청 한 관계자는 “출근 후 조퇴하거나 방과 후 늦은 오후부터 투쟁에 참여하는 교원도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며 “연가나 조퇴 형식으로 연가투쟁에 참여하는 교원의 빈자리는 학교장 재량에 맡겨 기간제교사 등을 활용해 수업에 차질이 없게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전교조 전남지부 한 관계자는 “연가는 교사의 정당한 권리”라며 “학사운영에 지장을 주지 않고 특히 수업결손이 없도록 대책을 마련한 뒤 연가투쟁에 참여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23일 전국 시도교육청과 전교조 각 지부에 따르면 전교조 경기지부는 조합원 7천여명 가운데 약 20%인 1천400명이 연가투쟁에 참여하는 것을 목표로 조합원들을 독려하고 있다.
전교조 인천지부는 조합원 2천500여명 가운데 300여명이 연가투쟁에 참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전교조 광주지부는 4천300여명 조합원 가운데 30여명이, 전남지부는 5천500여명 가운데 200여명이 참여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100여명이 참가할 것으로 예상하는 전교조 경남지부는 창원과 거제에서 버스 1대씩을 투입해 상경하고 나머지는 개별 출발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대구와 경북에서는 각각 30명 안팎이 연가투쟁에 참여할 것으로 예상하고 관광버스를 임차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교조 제주지부는 24일 오전 10여명이 항공편을 이용해 연가투쟁에 참가한 뒤 25일 돌아올 예정이다.
전교조 강원지부 측은 “100여명이 연가투쟁에 참가할 예정”이라며 “공무원 연금에 대한 우려뿐만 아니라 세월호 참사 등 정부 정책에 대한 분노가 상승해 지부 사상 최대 규모의 연가 투쟁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에 대해 대부분의 시도교육청은 교육부의 징계 지침을 전달했고, 일부 시도교육청은 강경 대응을 예고했다.
대전시·세종시·충남도교육청은 연가와 조퇴를 불허한다는 교육부 지침을 학교에 보내고 엄정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대구시·경북도교육청도 연가를 불허하고 참여자에 대해서는 교육부의 지침에 따라 징계할 방침이다.
부산시교육청은 연가투쟁 당일 직원 2명을 서울로 보내 현황파악 등에 나설 계획이다.
경남도교육청은 징계방침을 담은 교육부 공문을 최근 학교에 보낸 상황이어서 연가투쟁 참가자에 대한 징계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
경남도교육청 한 관계자는 “학교장에게 연가를 내고 결재 여부에 상관없이 상경하는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에 참가자들 전원에 대한 징계방침을 밝힌 교육부 지침을 따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부 시도교육청은 교육부 지침만 전달하고 실제 징계절차를 밟을지 방침은 밝히지 않았다.
경기도교육청은 이날 오전 “교육부에서는 연가투쟁과 관련해 학교장 또는 교감이 소속 교원의 근무시간 중 집회참가를 위해 조퇴 또는 연가신청할 경우 불허하고 승인할 경우 징계 등 책임 부과 예정이라고 하오니 복무관리 시 참고하기 바란다”는 내용의 공문을 학교에 보냈다.
도교육청은 앞서 “(연가투쟁 참여로 교원들이) 관련 법령 위반으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복무관리 및 예방교육을 실시해주기 바란다”는 내용도 안내했다.
광주시교육청은 상대적으로 참여교사가 적은 점을 고려, 최대한 정상적인 연가는 보장하기로 했지만 복무 위반이 발생하지 않도록 일선 학교에 알릴 방침이다.
집단 연가나 조퇴에 따른 수업 결손을 막는 방안도 강구되고 있다.
대구시교육청은 수업을 대체할 인력을 지원할 계획이다. 반면 경북도교육청은 참여 교사가 소수여서 학교에서 수업시간을 조정하면 큰 차질이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경기도교육청 한 관계자는 “출근 후 조퇴하거나 방과 후 늦은 오후부터 투쟁에 참여하는 교원도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며 “연가나 조퇴 형식으로 연가투쟁에 참여하는 교원의 빈자리는 학교장 재량에 맡겨 기간제교사 등을 활용해 수업에 차질이 없게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전교조 전남지부 한 관계자는 “연가는 교사의 정당한 권리”라며 “학사운영에 지장을 주지 않고 특히 수업결손이 없도록 대책을 마련한 뒤 연가투쟁에 참여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