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 발생한 병원 6곳, 다녀간 병원 18곳…정부 “경유 의료기관 18곳 사실상 감염 위험 없어”
정부가 7일 공개한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관련 병원은 서울, 경기, 충남, 대전, 전북 등 모두 5개 시·도 24개 의료기관이다.공개된 병원 가운데 메르스 환자가 직접 발생한 곳은 4개 시·도 6개 의료기관이고, 나머지 4개 시·도 18개 의료기관은 메르스 환자가 증상 발현 이후 확진 판정을 받기 전에 다녀간 병원들이다.
환자가 발생한 곳 가운데 평택성모병원에서 36명, 삼성서울병원에서 17명, 건양대병원에서 5명, 대청병원에서 3명, 아산 서울병원과 365서울열린병원에서 각각 1명의 환자가 나왔다.
메르스 환자가 발생한 병원은 크게 ▲ 최초 환자가 다녀간 병원 ▲ 14번 환자가 다녀간 병원 ▲ 16번 환자가 다녀간 병원 등 크게 세 가지 경로 위에 놓여 있다.
먼저 국내 첫 메르스 환자는 지난달 11일 증상이 나타난 후 12∼14일 충남 아산의 서울병원에 처음 들렀고 이후 평택성모병원, 서울의 365서울열린병원, 삼성서울병원으로 이동했다.
이 가운데 15∼17일 두 번째로 들른 평택성모병원에서는 지금까지 3차 감염을 포함해 모두 36명의 환자가 발생했다. 첫 환자로부터 직접 전파된 것으로 추정되는 경우가 28건, 추가 전파로 추정되는 경우는 8건이다.
평택성모병원 외에 첫 환자가 간 병원 중에는 아산 서울병원의 의료인(46·여)과 365서울열린병원의 의료인(50)이 한 명씩 메르스로 확진됐다.
이들 병원의 경우 이미 최장 잠복기가 지났으므로 더 이상 환자가 발생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첫 환자가 마지막에 입원한 삼성서울병원에서는 첫 환자로 인한 감염자는 발생하지 않다가 평택성모병원에서 첫 환자와 접촉해 감염된 14번 환자가 27∼29일 이 곳 응급실을 찾으면서 3차 감염이 시작됐다.
이것이 두 번째 경로다.
이 병원 의료진 2~3명을 포함해 지금까지 응급실을 거쳐간 17명의 환자가 삼성서울병원에서 발생했다.
14번 환자가 삼성서울병원에 오기 전에 입원했던 또다른 의료기관에서는 아직 환자가 발생하지 않고 있다.
평택성모병원에서 출발한 메르스 바이러스의 세 번째 경로는 대전 지역 병원들로 이어진다.
평택성모병원에 입원했다 첫 환자로부터 감염된 16번 환자(40)는 이후 몸에 이상을 느껴 대전 대청병원(25∼27일)과 건양대병원(28∼30일)을 거쳤고 이후 메르스 확진을 받아 국가지정격리병원에 입원했다.
대청병원에서는 16번 환자와 같은 병실에 입원해 있던 3명의 환자가, 건양대병원에서는 16번 환자와 같은 병실 환자들과 동일 병동 환자 배우자 등 5명의 환자가 메르스에 감염됐다.
이 밖에 환자들이 다녀간 병원 18곳에서는 아직 3∼4차 감염자가 확인되지 않고 있다.
서울의 서울아산병원과 여의도성모병원, 하나로의원(중구), 윤창옥내과의원 등 4곳, 경기지역의 평택굿모닝병원, 평택푸른병원, 365연합의원, 박애병원, 연세허브가정의학과의원(이상 평택), 한림대동탄성심병원(화성), 가톨릭성빈센트병원(수원), 메디홀스의원, 가톨릭대부천성모병원(이상 부천), 성모가정의학과의원(군포), 오산한국병원(오산) 등 11곳, 충남의 단국대의대부속병원(천안), 대천삼육오연합의원(보령) 등 2곳, 전북의 최선영내과의원(순창) 1곳 등이다.
이들 가운데 서울아산병원, 여의도성모병원, 수원 가톨릭성빈센트병원 등엔 응급실로 환자가 다녀갔고 서울 중구 하나로의원, 윤창옥내과의원, 부천 메디홀스의원, 순창 최선영내과의원 등에서는 환자들이 외래 진료를 받았다.
이날 최경환 국무총리 직무대행은 “환자가 단순히 경유한 18개의 의료기관은 감염 우려가 사실상 없는 병원”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이들 병원 가운데 일부는 최장 잠복기간을 지나도록 환자가 발생하지 않아 추가 감염 가능성이 사실상 사라진 상태지만 상당수는 아직 잠복기간이 다 끝나지 않은 상태다.
감염 이후 증상이 나타나기까지 최대 잠복기가 14일인 점을 고려한다면 산술적으로 지난달 24일 이후 메르스에 노출된 곳에서는 여전히 환자 발생 가능성이 남아있는 셈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