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의심 환자 발생과 관련된 충북 진천군의 내부 문건 유출 의혹을 받는 진천군의회 A 군의원이 12일 사회관계망 네트워크(SNS)을 통해 사과문을 발표했다.
A 군의원은 자신의 카카오스토리를 통해 “순간의 판단 착오로 메르스 관련 개인정보 유포로 지역사회에 물의를 일으킨 점에 대해 책임을 통감하며 군민 여러분과 당사자에게 진심으로 사과한다”고 밝혔다.
A 군의원은 “메르스 의심환자 발생 동향 보고 문서를 접하고, 군민들에게 이 사실을 알려 안전조치를 해야겠다는 생각에 SNS를 통해 문서를 사진으로 게시했다”며 “그러나 개인정보가 기록돼 있음을 직감하고 1분 후에 바로 삭제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지난 11일 문건 유출의혹 내사에 들어갔던 진천경찰서는 이날 수사로 전환해 본격적인 조사에 나섰다.
경찰은 진천군청 행정과 관계자들을 조사해 이 문건을 내부용으로 작성, 군의회에 보고한 사실을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추가로 이 문건이 유출된 경로 등을 추가 확인한 뒤 A 군의원을 조사할 예정이다.
문건 유출행위가 사실로 드러나면 공무상 비밀누설 혐의나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혐의 등의 적용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진천군청 메르스 의심환자 발생 보고’라는 제목의 이 문건은 진천군청의 한 공무원이 메르스 의심증상을 보인 지난 10일 오후부터 카카오톡과 카카오스토리 등 SNS를 통해 빠르게 전파돼 물의를 빚었다.
이 문건에는 메르스 의심환자인 공무원의 성명, 소속, 주소 등 인적사항과 증상발현일 등이 상세히 담겨 있다.
또 A씨의 시간대별 행적, A씨와 접촉한 공무원, 격리조치된 공무원의 실명 등도 그대로 실려 있다.
연합뉴스
A 군의원은 자신의 카카오스토리를 통해 “순간의 판단 착오로 메르스 관련 개인정보 유포로 지역사회에 물의를 일으킨 점에 대해 책임을 통감하며 군민 여러분과 당사자에게 진심으로 사과한다”고 밝혔다.
A 군의원은 “메르스 의심환자 발생 동향 보고 문서를 접하고, 군민들에게 이 사실을 알려 안전조치를 해야겠다는 생각에 SNS를 통해 문서를 사진으로 게시했다”며 “그러나 개인정보가 기록돼 있음을 직감하고 1분 후에 바로 삭제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지난 11일 문건 유출의혹 내사에 들어갔던 진천경찰서는 이날 수사로 전환해 본격적인 조사에 나섰다.
경찰은 진천군청 행정과 관계자들을 조사해 이 문건을 내부용으로 작성, 군의회에 보고한 사실을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추가로 이 문건이 유출된 경로 등을 추가 확인한 뒤 A 군의원을 조사할 예정이다.
문건 유출행위가 사실로 드러나면 공무상 비밀누설 혐의나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혐의 등의 적용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진천군청 메르스 의심환자 발생 보고’라는 제목의 이 문건은 진천군청의 한 공무원이 메르스 의심증상을 보인 지난 10일 오후부터 카카오톡과 카카오스토리 등 SNS를 통해 빠르게 전파돼 물의를 빚었다.
이 문건에는 메르스 의심환자인 공무원의 성명, 소속, 주소 등 인적사항과 증상발현일 등이 상세히 담겨 있다.
또 A씨의 시간대별 행적, A씨와 접촉한 공무원, 격리조치된 공무원의 실명 등도 그대로 실려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