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진환자 2명 주소지만 ‘광주’…타지 격리, 밀접촉자 ‘이상 무’
“서울로 치료를 받으러 간 뒤 광주에는 한 발짝도 들어놓지 않았는데 청정지역이 뚫렸다는 것이 말이 됩니까”다음 달 3일 광주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를 앞둔 광주시가 중증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환자 발생과 은폐의혹 제기에 대해 발끈하고 나섰다.
광주시는 17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메르스 상황 보고를 하고 “2명의 확진 환자 주소지가 광주이지만 삼성 서울병원 응급실에서 감염된 뒤 현재 격리중이거나 사망했다”며 “광주는 청정지역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임형택 광주시 건강정책과장은 “48번 확진 환자는 거주지가 광산구로 삼성 서울병원에서 입원한 부인 간병 과정에서 지난 6일 최종 확진됐으며 이미 4일부터 격리치료실에 치료를 받고 있다”고 말했다.
48번 환자 부인은 암병동에서 격리치료 중이며 음성으로 판명됐다.
임 과장은 48번 환자는 지난달 28일 이후 광주에 내려온 적이 없으며 면회를 했던 서울 거주 처형 등도 자택격리 중이다고 설명했다.
광주가 주소지인 64번 환자(사망) 역시 역학조사 결과 삼성 서울병원 응급실 내원 뒤 감염됐으며 사망 하루 뒤인 지난 6일 확진 판정을 받았다.
임 과장은 “장례를 치르기 위해 지난 8일 부인과 아들 등 가족이 광주로 내려왔으며 이후 자택격리와 모니터링을 하고 있고 현재까지 특이사항이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설령 환자의 주소지가 광주라는 이유로 이 지역에 메르스가 전파된 것처럼 생각하는 것은 지나친 오해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보건복지부의 메르스 관리 지침상 환자 관리 기준을 주소지로 할 것인지, 실거주지(발생지)로 할 것인지 등을 놓고 혼선이 커 대책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실례로 48번 환자의 경우 확진 환자 통계에는 서울로 잡혀 있으나 정작 부인은 광주시 관리대상에 포함해 있는 등 혼란을 빚고 있다.
이날 현재 광주지역 자택격리자는 10명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