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중 잠복기 정점 확산에 예의 주시…강동성심 3~4명 의심 증상 검사 중”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확진자가 지난 28일에 이어 이틀째 추가 발생하지 않았다. 메르스 환자가 이틀 연속 발생하지 않은 것은 지난달 25일 이후 34일 만에 처음이다. 하지만 보건당국은 아직 안심하기에는 이르다고 본다.권덕철 보건복지부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 총괄반장은 29일 “잠복기의 정점이 이번 주중에 있기 때문에 최대한 추가 확산하지 않도록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173번째 환자(70·여)와의 접촉자가 5000명에 육박하는 강동성심병원도 이번 주초 환자가 추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이 병원이 메르스 확진자에게 마지막으로 노출된 시기는 지난 22일이다. 메르스 바이러스는 보통 7일 정도 지나야 증상이 나타나는데, 그 시기가 딱 이번 주초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 질병예방센터장은 “강동성심병원은 현재 서너 명 정도 증상을 보이는 환자가 있어 검사 중”이라고 밝혔다.
고비를 앞둔 상황이지만, 일단 진정세가 계속되자 보건당국은 후속 과제인 감염병 예방체계 개편 작업을 본격화했다. 복지부는 먼저 예비비 160억원을 확보해 메르스 사태로 피해를 본 병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대상은 메르스 환자가 발생해 부분폐쇄된 병원들로, 대부분 종합병원급이다. 권 반장은 “현재 구체적인 지원 기준을 마련 중이며, 지원이 시급한 집중관리병원을 중심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메르스 환자가 거쳐 가 피해를 본 의원급 의료기관에는 건강보험료 급여를 먼저 지급하는 방식으로 경제적 손실을 보전해주기로 했다. 아울러 병원이 감염관리 인력을 확충할 수 있도록 감염 통합진료 수가(의료 행위에 대한 대가)를 신설할 계획이다. 또 병원들이 수익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음압병실 설치를 꺼리는 점을 고려해 음압병실 수가를 올리기로 했다.
이 밖에 응급의료기관의 격리 병상과 격리 구역 설치를 의무화하기로 했다. 정부는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마련한 뒤 이달 중 공론화 과정을 거쳐 다음달 최종안을 확정할 계획이다. 현재 메르스 확진자는 182명, 사망자는 32명으로 전날과 같고, 메르스 증상이 나타난 상태에서 제주도를 다녀왔던 141번째 환자(42) 등 2명이 퇴원했다.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5-06-30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