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인 31일 서울 도심 곳곳에서 정부의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방침에 반대하거나 찬성하는 집회가 잇따라 열렸다.
국정화 추진에 반대하는 단체들은 도심에서 산발 집회를 벌인 뒤 오후 6시 청계광장에서 한국사교과서 국정화저지 네트워크 주최로 열린 ‘역사교과서 국정화 저지를 위한 범국민대회’에 참가했다.
범국민대회에는 시민단체 외에도 청소년과 대학생, 역사 교사 및 학자 등 총 2천500여명(경찰추산, 주최측 1만여명 추산)이 모였다.
이번 대회에는 안병욱 전 진실화해위원회 위원장과 한상권 한국사교과서 국정화저지 네트워크 상임대표 등이 참석해 국정화에 반대한다는 결의문을 읽었고,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노래패 등이 공연했다.
이들은 대회 후 보신각을 거쳐 시청광장까지 가두 행진을 벌였다.
앞서 서울대, 고려대, 이화여대 등 1천여명의 대학생들이 오후 2시부터 대학로 마로니에 공원, 용산 전쟁기념관, 대현문화공원 등에서 사전 집회를 한 뒤 청계광장까지 행진했다.
역사교수모임도 오후 4시30분 역사박물관 앞에서 윤경로 민족문제연구소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장, 재야사학자 이이화씨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집회를 한 뒤 범국민대회에 합류했다.
이에 맞서 보수단체들은 정부의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찬성하는 집회를 열었다.
대한민국재향경우회는 오후 5시부터 2시간 동안 세종로 동화면세점 앞에서 1천여명이 모인 가운데 ‘올바른 역사교과서 발행 촉구 집회’를 개최했다.
이 단체는 “역사교과서 국정화는 교육정상화의 지름길”이라며 “역사를 정치투쟁과 이념투쟁의 수단으로 삼으면 안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어버이연합도 오후 3시 서린동 동아일보사 앞에서 200여명이 참가하는 ‘올바른 역사교과서 지지 집회’를 열어 역사교과서 국정화 방침에 찬성 목소리를 냈다.
연합뉴스
국정화 추진에 반대하는 단체들은 도심에서 산발 집회를 벌인 뒤 오후 6시 청계광장에서 한국사교과서 국정화저지 네트워크 주최로 열린 ‘역사교과서 국정화 저지를 위한 범국민대회’에 참가했다.
범국민대회에는 시민단체 외에도 청소년과 대학생, 역사 교사 및 학자 등 총 2천500여명(경찰추산, 주최측 1만여명 추산)이 모였다.
이번 대회에는 안병욱 전 진실화해위원회 위원장과 한상권 한국사교과서 국정화저지 네트워크 상임대표 등이 참석해 국정화에 반대한다는 결의문을 읽었고,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노래패 등이 공연했다.
이들은 대회 후 보신각을 거쳐 시청광장까지 가두 행진을 벌였다.
앞서 서울대, 고려대, 이화여대 등 1천여명의 대학생들이 오후 2시부터 대학로 마로니에 공원, 용산 전쟁기념관, 대현문화공원 등에서 사전 집회를 한 뒤 청계광장까지 행진했다.
역사교수모임도 오후 4시30분 역사박물관 앞에서 윤경로 민족문제연구소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장, 재야사학자 이이화씨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집회를 한 뒤 범국민대회에 합류했다.
이에 맞서 보수단체들은 정부의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찬성하는 집회를 열었다.
대한민국재향경우회는 오후 5시부터 2시간 동안 세종로 동화면세점 앞에서 1천여명이 모인 가운데 ‘올바른 역사교과서 발행 촉구 집회’를 개최했다.
이 단체는 “역사교과서 국정화는 교육정상화의 지름길”이라며 “역사를 정치투쟁과 이념투쟁의 수단으로 삼으면 안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어버이연합도 오후 3시 서린동 동아일보사 앞에서 200여명이 참가하는 ‘올바른 역사교과서 지지 집회’를 열어 역사교과서 국정화 방침에 찬성 목소리를 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