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에너지 사용량 가장 많은 곳은 서울대

서울 시내 에너지 사용량 가장 많은 곳은 서울대

입력 2017-08-02 09:27
수정 2017-08-02 09:2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력 사용 1위는 KT목동IDC…백화점 1위는 잠실 롯데월드몰

서울 시내에서 에너지 사용량이 가장 많은 건물(군)은 서울대학교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지난해 대학교·병원·호텔·백화점 등 에너지를 많이 쓰는 건물 335곳의 에너지 사용량을 집계한 결과 서울대가 4만7천1TOE로 1위를 차지했다고 2일 밝혔다.

1TOE는 석유 1t의 발열량으로, 1천만kcal에 해당한다. 일반 가정에서 약 1년 2개월간 쓸 수 있는 전력량이다.

이번 조사 대상은 연간 에너지 사용량이 2천TOE를 넘은 471곳 가운데, 단순 비교가 어려운 아파트 등 공동주택을 제외한 335곳이다.

시는 다만 “서울대학교가 지난해 쓴 4만7천1TOE는 개별 건물이 아닌 대학 부지 내 모든 건물의 에너지 사용량을 합친 것”이라고 부연했다.

2위는 KT의 전산센터 건물인 KT목동IDC, 3위는 서울 종로구 서브원 건물로 각각 나타났다. 이어 4위 삼성서울병원, 5위 서울아산병원, 6위 롯데호텔월드가 뒤따랐다.

전력만 따로 떼어 봤을 때는 KT목동IDC가 연간 18만6천308㎿h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서브원 17만8천473㎿h, 서울대 16만2천901㎿h, 호텔롯데(롯데월드) 11만3천440㎿h, 코엑스 11만1천774㎿h 등 순이다.

업종별 에너지 사용량을 보면 백화점 가운데 에너지 소비량이 가장 많은 곳은 송파구 롯데월드몰로, 연간 2만2천611TOE를 사용했다. 공공건물 1위는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로, 2만4천960TOE를 썼다.

㎡당 에너지 사용량이 가장 많은 호텔은 신라호텔이었고, 대학교는 광운대였다. 2015년과 비교해 에너지 사용량을 가장 많이 줄인 건물은 엘지씨엔에스 상암 IT센터로, 2천687TOE를 절감했다.

시는 연간 에너지 사용량이 2천TOE를 넘는 ‘다소비 건물’이 전체 건물 에너지 사용량의 24%나 차지함에 따라 에너지 효율화를 이끌어내고자 관련 통계를 공개하게 됐다고 밝혔다.

김지향 서울시의원 “지상은 39도, 지하도 31도 넘었다···서울지하철 폭염 재난수준”

117년 만의 기록적 폭염 속에서 서울지하철 일부 역사가 체감온도 40도에 가까운 ‘찜통’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김지향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영등포 제4선거구)은 서울교통공사로부터 제출받은 7월 22일부터 24일까지 서울지하철 각 호선 주요 역사 17개 역을 대상으로 오전 8시, 오후 3시, 오후 6시의 온도를 표본 측정자료를 분석한 결과, 옥수역의 경우 24일 오후 3시 39.3도, 오후 6시 38.1도를 기록하는 등 시민들은 ‘찜통역’을 경험하고 있다고 밝혔다. 2호선 성수역 또한 24일 오후 39도를 기록하는 등 매우 높은 온도를 기록했으며 조사한 3일간 오전 8시 온도 역시 30도를 넘겨 오후 기록보다는 낮지만, 서울지하철 기준온도(가동기준온도 29℃)보다 높은 것을 확인했다. 조사 결과, 지하역사인 아현역(최고 31.2도), 한성대입구역(최고 31.5도), 서울역(30.5도)도 조사 기간 내 오후뿐만 아니라 아침 시간대에도 이미 29~30도를 기록하여 시민들이 온종일 더위에 노출되고 있으며, 실제 체감온도는 측정치보다 훨씬 높았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지상역사에 비해 지하역사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이지만, 밀폐 구조로 인해 공기가
thumbnail - 김지향 서울시의원 “지상은 39도, 지하도 31도 넘었다···서울지하철 폭염 재난수준”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