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 3시 ‘내 택배 언제 오나’ 독촉”… 갑질 보호 못 받는 기사들

“새벽 3시 ‘내 택배 언제 오나’ 독촉”… 갑질 보호 못 받는 기사들

곽소영 기자
곽소영 기자
입력 2022-02-17 20:38
수정 2022-02-18 04: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77% “부당 대우 받아도 참아”
“또 부딪칠 사람… 먼저 못 끊어”
상담원과 달리 안전 장치 부족

택배 물량이 쌓여 있다. 2021.12.28 연합뉴스
택배 물량이 쌓여 있다. 2021.12.28 연합뉴스
경기 고양에서 집배원으로 일하는 오현암(41)씨는 하루에도 몇 차례씩 집배용 오토바이를 갓길에 세우고 전화를 받는다. ‘자신의 등기나 택배가 언제 도착하느냐’는 민원인의 전화가 수시로 배송용 단말기를 통해 오기 때문이다. 전화를 받다 보면 배송 일정이 더 지연되고 또 항의 전화가 오는 악순환을 견디는 게 오씨의 일상이다.

오씨는 17일 “욕설은 물론 ‘세금으로 월급 받으면 시키는 대로 할 것이지’식의 무시하는 발언을 거의 매일 듣는다”면서 “집배원당 배송 구역이 정해져 있다 보니 민원인이 욕설을 하더라도 또 부딪쳐야 할 사람이라는 생각에 먼저 끊지 못한다”고 말했다.

이어 “일을 크게 만들지 않기 위해 집배원 선에서 참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배송 업무를 하며 고객과 직접 연락을 주고받는 우체국 집배원이나 택배 기사들이 일부 ‘갑질’ 소비자들 때문에 괴로움을 호소하고 있다. 아침부터 밤까지 끼니도 제대로 챙기지 못한 채 무거운 물건을 실어 나르는 배송 기사들에게 시도 때도 없이 연락하거나 폭언을 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는 것이다.

콜센터 상담원 등 감정노동자들은 고객이 욕설 등 폭언을 하면 전화를 먼저 끊을 수 있게 하거나 ‘전화 받는 상담원은 제 가족’이라는 사전 음성이 송출되는 등 감정노동 방지 대책이 마련돼 있지만 이들에겐 이러한 안전 장치가 부족한 상황이다.

그렇다 보니 감정노동에 시달리는 택배 기사 중에는 고객의 폭언 때문에 공황장애가 와 치료를 받거나 퇴근 뒤인 오후 10시 이후에는 아예 휴대전화를 꺼 두는 기사도 있다.

경기 지역에서 택배기사로 일하는 홍모(52)씨는 “새벽 3시에도 고객에게 ‘내 택배가 도착을 안 했다’는 연락을 받기도 했다”면서 “특히 술 취한 고객이 단순한 욕설뿐만 아니라 ‘찾아가 죽이겠다’는 협박성 연락을 한 적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항의 전화를 받을 때마다 회사에 문의하라고 안내하고 있지만 고객과 1차적으로 연락하는 책임은 기사에게 있어 감정노동에서 보호받지 못한다”고 하소연했다.

실제 2017년 서울노동권익센터가 서울지역 택배기사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전체의 56.8%인 284명이 고객에게 폭언을 당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고, 77%인 386명은 고객에게 부당한 대우를 받을 때 ‘그냥 참고 견딘다’고 응답했다. 우정사업본부 측은 “주기적으로 정신 건강 조사를 한 뒤 심리 상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2022-02-18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