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한유적 군산 미룡동 고분군. 군산시 제공
해양문화를 기반으로 발전한 마한소국의 역사를 간직하고 있는 ‘군산 미룡동 고분군’에서 다수의 철기 유물이 발굴됐다.
전북 군산시는 ‘군산 미룡동 고분군’에 대한 2024년 발굴 및 시굴조사 성과를 20일 공개했다.
이번 발굴에서는 마한계 목관묘 18기, 옹관묘 18기, 화재 유구 1기 등이 조사됐다.
또 마한계 토기 35점(옹관 제외) 및 지도자급 위세품인 소환두대도 (자루 끝에 고리가 달린 칼) 등 철기 유물도 발굴됐다.
특히 화재 유구는 마한의 매장의례(의식)와 관련된 것으로, 현재까지 마한 유적에서 조사된 사례가 없어 매우 가치가 높고, 추후 마한의 매장의례 복원에 있어 핵심 유구로 평가된다.
발굴된 토기 중 ‘직구장경평저호’는 제사용 토기로 만경강 상류(완주·전주)를 중심으로 지금까지 16점 정도만 출토된 특수 기종이다.
이 토기를 통해 군산을 비롯한 금강 하류에서는 처음 출토돼 군산 지역 마한소국의 융성을 확인할 수 있다.

발굴된 마한 토기. 군산시 제공

마한유적 발굴 5호분 1호 목관묘. 군산시 제공
군산대학교 내에 있는 ‘군산 미룡동 고분군’은 군산시 서쪽을 남-북 방향으로 관통하는 월명산 산줄기에 해당하며, 해발 40~45m의 능선을 따라 고분과 주거지가 조성돼 있다.
이번 조사는 2022년 역사문화권 정비에 관한 특별법 개정에 따라 군산시가 국가유산청과 전북특별자치도의 도움을 받아 진행했다.
발굴조사는 군산대학교박물관이 담당했다.
군산시는 2025년 봄 추가 조사를 진행한 뒤 2026년 조사결과를 토대로 국가 유산 지정을 추진할 계획이다.
군산시 관계자는 “매장의례와 관련된 화재유구 및 지배자 위세품 등의 발굴을 통해 우리가 알지 못했던 마한문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며 “적극적으로 도움을 준 국가유산청과 전북특별자치도 및 발굴조사를 진행한 군산대학교박물관 조사단에게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