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9일 대구 북구 노곡동에서 침수 피해를 입은 한 주민이 빗물에 젖은 가재도구를 망연자실한 표정으로 바라보고 있다. 2025. 07. 19. 대구 민경석 기자
최근 남부지방을 강타한 집중호우로 발생한 대구 북구 노곡동 일대 침수 피해가 ‘인재’(人災)로 드러나고 있다. 당시 금호강으로 배수펌프장 수문 일부가 닫혀있었고, 제진기도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면서다.
대구시는 노곡동 침수 피해 경위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파악됐다고 21일 밝혔다. 이에 따라 시는 2주간 민간 전문가 5명과 공무원 등 총 14명으로 조사위원회를 구성하고 수문 미개방 및 제진기 가동 중지 원인을 조사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배수 시설 자체에 문제가 있었는지, 시설 운영상 미비점이 있었는지를 가려내겠다는 것이다.
앞서 대구시의 자체 조사 결과 노곡동 일대 침수 당시 금호강 수위는 배수펌프를 작동할 정도로 높지 않았다. 따라서 수문을 열고 배수해야 했지만, 수문 2개 중 1개가 알 수 없는 이유로 닫혀있었다. 또 배수펌프에 유입되는 쓰레기나 나뭇가지 등 부유물질을 걸러내는 기기인 제진기는 부유물이 과도하게 몰려 작동을 멈췄던 것으로 확인됐다.

폭우로 물에 잠긴 대구 북구
17일 오후 대구 북구 노곡동에서 119구조대가 보트를 타고 인명 수색을 하고 있다. 이날 갑작스러운 폭우로 노곡동 일대가 침수됐다. 2025.7.17. 연합뉴스
이와 함께 대구시는 전문 손해사정사를 투입해 이번 침수 피해 현황과 보상 방안을 마련키로 했다. 노곡동에는 지난 17일 시간당 40㎜가 넘는 비가 쏟아지면서 사업장 20곳, 주택 4채, 차량 40대, 오토바이 1대가 침수 피해를 봤다. 당시 주민 26명은 고립됐다가 119구조대 보트를 타고 간신히 대피했다.
노곡동 일대는 15년 전인 2010년에도 2차례 침수 피해가 발생했다. 대구시는 조사위원회의 조사가 끝나는 대로 종합개선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배수펌프장에서 처리 가능한 수준에 비가 왔음에도 침수가 있었던 만큼 운영상에 문제점이 있었다고 보고 있다”며 “다만 기계적 결함인지, 관리자가 제대로 운영하지 못한 것인지는 민간전문가 등으로 조사위원회에서 명확하게 밝힌 뒤 종합개선 대책을 마련하겠다”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