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열 구분없이 3과목 이상씩, 현행보다 고른 교과이수 목적
현재 중학교 3학년 학생이 서울대에 입학하기 위해서는 내년부터 고등학교 과정에서 ‘사회 교과’(사회, 한국지리, 세계지리, 한국사, 동아시아사, 세계사, 경제, 법과 정치, 사회·문화,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와 ‘과학 교과’(과학, 물리Ⅰ·Ⅱ, 화학Ⅰ·Ⅱ, 생명과학Ⅰ·Ⅱ, 지구과학Ⅰ·Ⅱ)를 통틀어 7과목을 이수해야 한다.서울대는 2017학년도 입시부터 고등학교에서 문·이과 계열에 구분 없이 사회 4과목, 과학 3과목을 이수하거나 사회 3과목, 과학 4과목을 이수하도록 하는 방침을 22일 발표했다.
이에 따라 서울대 입학을 원하는 인문 계열의 학생은 과학 교과 과목을, 자연계열 학생은 사회 교과 과목을 더 들어야 한다. 현행 교과 이수 기준을 보면 인문·예체능 계열은 과학 영역의 경우 2과목을 들어야 하며, 자연계열은 사회 영역의 경우 한국사만 들어도 된다. 현재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한국사가 필수 이수과목으로 지정돼 한국사를 배우고 있다.
서울대는 2017학년도에도 지금과 마찬가지로 모든 모집단위 지원자에게 제2외국어나 한문 중 1과목을 이수하도록 했다. 교과 이수 기준은 서울대 지원 자격과는 무관하지만 이 기준의 충족 여부가 수시·정시모집의 학교생활기록부 평가에 반영된다. 즉 이수 기준을 충족하지 못해도 서울대에 지원할 수 있지만, 서류 평가에서 감점 등의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
서울대 측은 “고등학생들이 계열에 국한되지 않고 고르게 교과를 이수해 대학 교육에 필요한 기본 소양을 갖추게 하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2013-07-23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