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발전엔 젊은 사람이 우선… 학교는 필수 요소”

“농촌 발전엔 젊은 사람이 우선… 학교는 필수 요소”

입력 2013-07-23 00:00
수정 2013-07-23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문찬 한드미 마을 대표

“지속 가능한 농촌 생활을 위해서는 젊은 사람들이 우선 돌아와야 합니다. 거기에 학교는 필수요소라고 할 수 있죠.”

이미지 확대
정문찬 한드미 마을 대표
정문찬 한드미 마을 대표
충북 단양의 정문찬(58) 한드미 마을 대표가 농촌학교 찬양론을 펼쳤다. 경험에서 나온 소신이다. 정 대표는 2006년 마을에 산촌유학센터를 운영하겠다고 마음먹고 농촌 살리기에 함께 나설 젊은 사람들을 수소문했다. 고향 후배들과 친구들이 첫 대상이 됐다. 그러나 처음에 흥미를 보였던 이들도 결국 고사했다. 학교가 폐교를 앞두고 있다는 게 큰 이유였다. 한 차례 좌절을 겪은 정 대표는 “귀농하는 사람들은 아이들이 다닐 학교가 필요했던 것”이라면서 “이후 학교의 존재 여부가 귀농을 결정하는 데 얼마나 중요한 요소인지 깨닫게 됐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20대 시절, 실패를 이미 한 번 겪었다.

정 대표는 “원래 농촌운동에 꿈이 있어 1978년 충북 단양으로 귀농했지만 실패하고 다시 부산으로 돌아갔다”면서 “당시에는 의지만 있었지 아무것도 몰랐던 것 같다”고 말했다. 부산으로 간 정 대표는 택시기사 등 다양한 일을 하며 고향으로 복귀할 날을 손꼽아 기다렸다고 한다.

고향으로 다시 돌아온 뒤에도 포기하고 싶은 순간이 많았다. 그럴 때마다 부인이 힘을 줬다. 1999년 정 대표가 귀향을 결정했을 때만 해도 부산에 남아 있겠다며 반대하던 부인이었다.

정 대표는 “젊은 사람들 없이 혼자 하려다 보니 포기하고 싶은 순간이 많았다”면서 “그럴 때마다 나보다 더 고생하면서 위로의 말을 건네는 부인이 참 많은 도움이 됐다”고 털어놨다. 부인은 지금도 아이들 급식을 준비하는 등 궂은 일을 도맡아 하고 있다.

정 대표는 양로원을 설립하겠다는 꿈도 갖고 있다. 이름도 호스피탤리티 움(hospitality um)이라고 미리 지었다. 움은 땅을 파고 위에 거적 따위를 얹어 비바람이나 추위를 막아 화초 등을 넣어 두는 공간이다.

정 대표는 “동네 어르신들이 딸이나 아들 집에 갈까 하는 고민 없이 우리 마을에서 평생 살고 싶어 했으면 좋겠다”면서 “양로원 설립은 그 목표를 위한 마지막 과정이 될 것”이라며 환하게 웃었다.

단양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2013-07-23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