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은 조기에 발견하면 완치율이 높지만, 재발의 위험도가 높다는 것이 의료진과 환자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사전에 재발 가능성을 파악한다면 암 관리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돼 왔다. 이런 가운데 국내 의료진이 PET(양전자 단층촬영)를 이용해 유방암으로 수술받은 환자의 재발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제시했다.
연세대 강남세브란스병원 유방외과 정준·안성귀·박종태 교수팀은 2004년 4월부터 2009년 5월까지 이 병원에서 유방암 수술을 받기 전에 ‘FDG-PET ’검사를 받은 49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표준섭취계수(SUV)에 따른 생존분석을 시행한 결과, 종양이 섭취하는 포도당 표준섭취계수가 증가할수록 악성종양의 재발 확률이 높아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24일 밝혔다. 보통 금식한 환자에게 포도당이 포함된 방사성 조영제를 투여하면, 종양이 포도당을 섭취하는데, 얼마만큼의 포도당을 종양이 섭취하는지를 표준화계수로 평가한 것이 SUV이다.
연구팀에 따르면, 표준섭취계수는 종양의 크기, 림프절 전이, 그리고 질환 진행상태(병기)와는 별도로 종양의 재발에 관여하는 인자였으며, 종양의 크기나 림프절 전이 등의 조건들과 연계시키면 더욱 정확하게 재발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이에 따라 496명의 환자를 SUV 4를 기준으로 분류(4이상=197명, 4미만=299명)한 뒤 6년 동안 재발 여부를 관찰한 결과, SUV가 4 미만인 환자군은 95.6%가 재발되지 않은데 비해 4 이상인 환자군은 86.8%가 재발해 SUV가 재발 확률 예측에 의미 있는 자료임을 입증했다.
또 SUV는 환자의 나이, 종양 크기, 림프절 전이, 에스트로겐 수용 여부, HER2 같은 다른 예후인자와 함께 다변량 생존분석을 시행했을 경우에도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런 SUV가 유방암 재발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은 호르몬 수용체 양성 유방암 환자군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연구팀이 328명의 호르몬 수용체 양성 유방암 환자를 SUV 4를 기준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SUV가 높을 경우 재발 확률 역시 높게 나타나 SUV가 종양의 크기나 병기보다 더욱 중요한 임자라는 점을 확인했다. 이 연구 결과는 유방암 관련 국제 학술지 ‘유방암 연구(Breast Cancer Research)’ 1월호에 게재됐다.
정준 유방외과 교수는 “수술 시행 전에 일괄적으로 시행하는 FDG-PET 검사가 유방암의 특성과 재발 가능성을 손쉽게 예측할 수 있는 유용한 생물학적 정보를 제시해 준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면서 “지금까지 질환 진행 단계를 살피는데만 사용했던 FDG-PET 검사가 유방암의 다양한 분자생물학적 특징을 가늠케 해주는 기반(플랫폼) 검사로써 유방암의 포도당 대사증가 현상을 이해하고, 관련 치료제를 개발하는 연구에 커다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심재억 의학전문기자 jeshim@seoul.co.kr
연세대 강남세브란스병원 유방외과 정준·안성귀·박종태 교수팀은 2004년 4월부터 2009년 5월까지 이 병원에서 유방암 수술을 받기 전에 ‘FDG-PET ’검사를 받은 49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표준섭취계수(SUV)에 따른 생존분석을 시행한 결과, 종양이 섭취하는 포도당 표준섭취계수가 증가할수록 악성종양의 재발 확률이 높아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24일 밝혔다. 보통 금식한 환자에게 포도당이 포함된 방사성 조영제를 투여하면, 종양이 포도당을 섭취하는데, 얼마만큼의 포도당을 종양이 섭취하는지를 표준화계수로 평가한 것이 SUV이다.
연구팀에 따르면, 표준섭취계수는 종양의 크기, 림프절 전이, 그리고 질환 진행상태(병기)와는 별도로 종양의 재발에 관여하는 인자였으며, 종양의 크기나 림프절 전이 등의 조건들과 연계시키면 더욱 정확하게 재발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이에 따라 496명의 환자를 SUV 4를 기준으로 분류(4이상=197명, 4미만=299명)한 뒤 6년 동안 재발 여부를 관찰한 결과, SUV가 4 미만인 환자군은 95.6%가 재발되지 않은데 비해 4 이상인 환자군은 86.8%가 재발해 SUV가 재발 확률 예측에 의미 있는 자료임을 입증했다.
또 SUV는 환자의 나이, 종양 크기, 림프절 전이, 에스트로겐 수용 여부, HER2 같은 다른 예후인자와 함께 다변량 생존분석을 시행했을 경우에도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런 SUV가 유방암 재발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은 호르몬 수용체 양성 유방암 환자군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연구팀이 328명의 호르몬 수용체 양성 유방암 환자를 SUV 4를 기준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SUV가 높을 경우 재발 확률 역시 높게 나타나 SUV가 종양의 크기나 병기보다 더욱 중요한 임자라는 점을 확인했다. 이 연구 결과는 유방암 관련 국제 학술지 ‘유방암 연구(Breast Cancer Research)’ 1월호에 게재됐다.
정준 유방외과 교수는 “수술 시행 전에 일괄적으로 시행하는 FDG-PET 검사가 유방암의 특성과 재발 가능성을 손쉽게 예측할 수 있는 유용한 생물학적 정보를 제시해 준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면서 “지금까지 질환 진행 단계를 살피는데만 사용했던 FDG-PET 검사가 유방암의 다양한 분자생물학적 특징을 가늠케 해주는 기반(플랫폼) 검사로써 유방암의 포도당 대사증가 현상을 이해하고, 관련 치료제를 개발하는 연구에 커다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심재억 의학전문기자 jesh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