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9만명 진료… 50대女 증가
발톱이 살을 파고드는 ‘내향성 손발톱’ 환자가 50대 여성에게서 크게 늘고 있다. 전문가들은 볼이 좁은 구두를 신는 등 잘못된 생활 습관을 고쳐야 한다고 조언한다.1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분석한 지난해 건강보험 지급 자료에 따르면 19만 6813명이 내향성 손발톱 때문에 병원 진료를 받은 것으로 집계됐다. 4년 전만 해도 18만 4667명이었던 환자가 매년 1.6%씩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여성 환자는 10만 3345명으로 이 중 50대가 18.2%를 차지했다. 10대에 이어 두 번째로 많다. 남성 환자는 9만 3468명으로 10대 환자가 가장 많은 28.5%였고 다음이 20대로 18.4%를 차지했다. 상대적으로 젊은 30대까지는 남성 환자가 다소 많고 40대부터는 여성 환자가 남성을 앞질렀다.
진료 인원은 매년 8~10월에 많은 경향을 보였다. 여름에는 대개 양말을 신지 않고 신발을 신다 보니 발톱이 직접적인 자극을 받아 변형되는 일이 많다.
이 질병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볼이 좁은 신발을 신는 것이다. 박민정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교수는 “학술적으로 증명되진 않았지만 볼이 좁은 구두를 자주 신다 보니 발톱이 눌려 살을 파고드는 내향성 손발톱이 생긴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50대 여성은 오랜 세월 구두를 즐겨 신으면서 발톱이 계속 자극을 받아 내향성이 된 것으로 보인다.
발톱이 살을 파고들면 염증이 생긴다. 초기에는 발톱 가장자리를 들어 올려 발톱 아래에 면이나 울 또는 실리콘 제제를 삽입하고, 볼이 넓은 신발을 신어 자극을 피하는 등 간단한 처치와 생활 습관 교정만으로 치료할 수 있다. 하지만 염증이 광범위하거나 계속 재발하면 발톱을 부분적으로 절제하거나 아예 제거해야 한다. 치료 시기를 놓쳐 염증이 발가락 전체로 퍼지고, 지속적으로 자극을 받으면 발톱 주름에 육아조직(모세혈관과 섬유조직이 증식한 결합조직)이 과하게 자라나 발톱을 덮을 수 있고, 당뇨병이 있다면 족부에 궤양이 생기거나 환부가 괴사할 수 있다. 따라서 되도록 빨리 치료해야 한다.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5-11-02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