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틸리케 축구대표팀 감독 취임 5개월
“아시안컵에서 준우승은 했지만 나는 그리 뛰어난 감독은 아니다. 대회 기간 동안 ‘신틸리케’니, ‘다산 슈틸리케’니 하는 별명들이 붙었지만, 부담이 컸다. 내가 가장 바람직하게 생각하는 감독의 모습은 훌륭한 경기력으로 선수들이 주목받은 다음에 ‘그런데 감독은 누구냐’는 질문을 받는 것이다.”
대한축구협회 제공
울리 슈틸리케 한국 축구대표팀 감독이 4일 서울 신문로 축구회관에서 열린 기자회견 도중 주먹을 불끈 쥐며 아시아축구연맹(AFC) 아시안컵 등 취임 5개월의 소회를 털어놓고 있다.
대한축구협회 제공
대한축구협회 제공
울리 슈틸리케(61) 한국 축구대표팀 감독이 4일 서울 신문로 축구회관에서 아시안컵 성과와 함께 취임 이후 5개월간의 소회를 털어놨다. 그는 아시안컵 대표팀 선수들에게 준우승의 공을 돌리는 대신 정작 자신은 몸을 낮췄다.
그러면서도 슈틸리케 감독은 “대표팀 선수들이 이번 아시안컵에서 가능성을 보여줬으나 기술적으로는 보완해야 할 점이 많다”고 따끔하게 지적했다. 그는 “8강 이후를 제외한 나머지 경기에서는 정신력에도 부담이 컸던 게 사실이다. 경기에서 압박을 당할 때도, 공이 없을 때도 침착성이 떨어졌다”면서 “이는 정신적으로는 커졌지만 기술적으로는 아직 부족한 지금 대표팀의 현실을 드러낸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술적인 부분에서 부족한 원인을 한국의 열악한 유소년축구에서 찾은 슈틸리케 감독은 “부임 당시 학원축구의 발전을 강조했는데 그것은 이 대목을 염두에 뒀던 것이고 한국축구의 미래를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전체 인구가 8200만명인 독일에서 유소년축구협회를 비롯해 산하기관 등 관계자까지 합치면 약 670만명의 유소년축구 관련 종사자가 있다”면서 “물론 독일과 한국은 비교 대상은 아니지만 그만큼 어린 선수들의 발굴과 육성에 신경 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이를 위해서 가장 중요한 건 세 가지인데 그건, 인내심과 뚜렷한 계획, 그리고 자금력”이라고 덧붙였다.
아시안컵을 통해 강조했던 ‘점유율 축구’가 실제 지향점과 괴리가 있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두 차례 호주전 가운데 첫 경기는 우리가 36%(32.8%대 67.2%) 뒤졌지만 이겼고, 두 번째는 점유율이 비슷했지만 졌다. 둘 중에 한 경기를 선택하라면 결승전을 고르겠다”고 잘라 말한 뒤 “점유율은 골키퍼에게 백패스를 하거나 자기 진영에서 공을 돌리는 게 아니다. 문제는 점유율을 높이더라도 위협적인 장면을 연출하지 못하는 데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도대체 나의 축구가 어떤 색깔인지 모르겠다고 한 국내 지도자가 말을 하던데, 남들이 다 볼 수 있는 뻔한 전술을 쓰기보다는 우리의 ‘패’가 무엇인지를 알 수 없게 하는 전술이 더 효과적이라 생각한다. 우리 대표팀의 포메이션은 알다시피 4-2-3-1이다. 상대가 똑같이 같은 포메이션으로 나올 경우, 승부는 0-0일 수밖에 없다. 포메이션은 숫자에 불과하다. 진짜 중요한 것은 이 숫자에 어떤 의미를 입히느냐다”고 말했다.
이정협을 발굴한 슈틸리케 감독은 “제2의 이정협을 찾아 보겠다. 다음달에 여유를 갖고 많은 것을 실험할 것”이라면서 “밝히긴 곤란하지만 지난해 제주 전지훈련 때 유심히 지켜본 선수가 3명 정도 있었는데 K리그 시즌이 시작되면 이들을 집중적으로 점검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그는 또 대표팀의 스트라이커 대열에 합류한 이정협에 대해 “‘군데렐라’ 얘기도 있지만 조심해야 한다. 스타가 되려면 노력을 더 많이 해야 한다. 다행인 것은 이정협은 모든 지도자가 함께하고픈 선수라는 점”이라면서 “그는 항상 자신에게 요구하는 점을 이해하고 끊임없이 노력한다. 훈련장에서 보여준 좋은 모습을 경기 때 그라운드에서 보여주려고 노력한다”고 여전한 믿음을 나타냈다.
이번 대표팀 23명 모두가 이런 자세를 유지했기 때문에 자신은 행복한 감독이었다고 말한 슈틸리케 감독은 “한국대표팀 감독으로서 장기적인 목표를 말하자면 한국 축구가 직장에서, 그리고 가정에서 많은 화제가 됐으면 하는 것”이라면서 “지난 FA컵 축구 준결승 TV중계가 중간에 끊어져 깜짝 놀랐다. 관중이 불과 몇 백명에 불과해 더 놀랐다”고 말했다. 구체적이고 현실적 목표를 묻는 말에는 “한국이 국제축구연맹(FIFA) 랭킹 30위 안에 들었으면 좋겠다”고 말을 맺었다.
최병규 전문기자 cbk91065@seoul.co.kr
2015-02-05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