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FA 태국 정부에 “바레인 탈출 알아라이비 송환하지 말라”

FIFA 태국 정부에 “바레인 탈출 알아라이비 송환하지 말라”

임병선 기자
입력 2019-01-25 09:26
수정 2019-01-25 09: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AFP 자료사진
AFP 자료사진
호주 프로축구 시드니 FC 팬들도 하킴 알아라이비의 송환에 반대하는 플래카드 시위를 벌였다. AFP 자료사진
호주 프로축구 시드니 FC 팬들도 하킴 알아라이비의 송환에 반대하는 플래카드 시위를 벌였다.
AFP 자료사진
국제축구연맹(FIFA)이 태국 정부에게 구금 중인 바레인 축구 선수를 조국에 송환하지 말도록 의견을 전달했다고 영국 BBC가 24일(이하 현지시간) 전했다.

문제의 축구 선수는 2014년 호주로 탈출해 3년 뒤 정치적 망명이 허용돼 난민 지위를 얻어 멜버른 연고의 파스코 베일에서 뛰고 있는 하킴 알아라이비(25)로 지난해 11월 27일 휴가를 즐기던 방콕 공항에서 바레인이 발부한 국제형사기구(인터폴) 영장이 집행돼 방콕 교도소에 지금까지 구금됐다.

파트마 사모우라 FIFA 사무총장은 프라윳 찬오차 태국 총리에게 편지를 보내 “(바레인 선수가) 조국에 돌아가면 그릇된 대우를 받을 심각한 위험에 처해 있다”며 조속히 사태를 해결해달라고 주문했다. 이어 “FIFA는 적절한 국제적 기준에 따라 가능한 빠른 시간에 알아라이비가 호주로 안전하게 돌아올 수 있도록 태국 왕국이 필요한 조치들을 취했으면 좋겠다고 촉구한다”며 FIFA, 프로축구선수협의회(FIFPRO) 대표단과 태국 정부의 고위 책임자들이 만나 협의를 갖자는 것을 정중히 요청한다고 덧붙였다.

알아라이비는 바레인에서 경찰서를 습격한 혐의로 궐석 재판에서 유죄 선고를 받고 10년형을 언도받았지만 본인은 혐의를 극구 부인하고 있다. 그는 영국 일간 가디언과의 인터뷰를 통해 조국에 송환되면 고문을 당하거나 살해될 수 있다며 자신은 “겁에 질려 있으며 희망을 잃어가고 있다”고 털어놓았다.

알아라이비는 바레인 정부당국에 대표적인 반체제 인물이며 휴먼 라이츠 워치(HRW)는 형의 정치적 행동 때문에라도 바레인 당국의 타깃이 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지난해 그는 2012년 아랍의 봄 시위 이후 고문을 당한 적이 있다고 HRW에 밝혔다.

남궁역 서울시의원, ‘HCN 버스킹인서울’ 출격…음악으로 시민과 소통해

서울시의회 남궁역 의원(국민의힘, 동대문3)이 HCN방송의 음악 토크 콘서트 ‘버스킹인서울’에 출연해 시민들과 뜻깊은 소통의 시간을 가졌다. 지난 24일 서울식물원에서 진행된 이번 녹화는 김일중 아나운서의 진행으로, 환경수자원위원회 소속 박춘선 부위원장, 이용균 의원과 함께 참석해 음악과 함께 시민들의 목소리를 경청하며 친환경 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번 ‘버스킹인서울’은 밴드 블루진과 싱어송라이터 오아의 공연, 시민 참여 퀴즈와 노래 등으로 화합의 장이 되었으며, 환경수자원위원회의 친환경 정책 의지와 녹색 도시 서울을 향한 협력의 중요성을 시민과 공유하는 뜻깊은 시간이었다. 남궁 의원은 “서울식물원은 식물원과 공원이 결합된 도심형 복합문화공간이자, 서울의 녹색 미래를 상징하는 장소”라며 “환경수자원위원회는 서울식물원이 세계적인 식물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남궁 의원은 평소 가까운 공원에서 맨발 걷기를 실천하는 경험을 나누며, 시민들이 안전하게 맨발 보행을 즐길 수 있도록 발의한 ‘맨발 걷기 활성화 조례’와 관련한 입법 취지를 설명했다. 현장 질의응답 코너에서는 남궁 의원이 발의한 ‘서울
thumbnail - 남궁역 서울시의원, ‘HCN 버스킹인서울’ 출격…음악으로 시민과 소통해

임병선 선임기자 bsn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