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급등 미국도 질소과자에 불만?… 64% “슈링크플레이션 우려”

물가급등 미국도 질소과자에 불만?… 64% “슈링크플레이션 우려”

이경주 기자
이경주 기자
입력 2022-08-31 13:13
수정 2022-08-31 13:1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원자재값·인건비 급등에 가격동일 제품
용량만 교묘하게 줄이는 경우 늘어
여론조사서 54% “제품용량 축소 경험”
다른 제품이나 PB제품 구입으로 대응
지난달 9일(현지시간) 미국 콜로라도주의 한 마트에서 직원이 카트를 수거하고 있다. AP
지난달 9일(현지시간) 미국 콜로라도주의 한 마트에서 직원이 카트를 수거하고 있다. AP
물가 고공행진이 지속중인 미국에서 소비자의 64%가 ‘슈링크플레이션’(shrinkflation)을 우려하고 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슈링크플레이션은 크기나 양을 줄인다는 뜻의 ‘슈링크(shrink)’와 물가 상승을 의미하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다. 기업들이 가격 인상에 따른 매출감소를 피하거나 비난을 받지 않으려 대신 제품 용량을 줄이는 꼼수를 일컫는다.

CNBC방송은 여론조사업체 모닝컨설트를 인용해 “미국 성인의 64%가 슈링크플레이션을 걱정하고 있으며 54%는 기업들의 제품 용량 축소 사례를 직접 목격하거나 듣고 읽은 적이 있다”고 3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기업들이 가격 인상보다 제품 중량을 줄이는 품목으로는 과자, 냉동식품, 육류, 빵 등이 지목됐다. 특히 이들 품목 중 가격은 같지만 용량이 줄어든 과자를 목격했다는 비율이 55%로 가장 높았다. 

이에 대한 소비자의 대처법(복수응답)으로는 ‘다른 브랜드 구입’(49%), ‘PB상품 구매’(48%), ‘대량포장제품 구매’(33%) 등이 상위권 답변이었다. 반면 19%는 제품의 중량과 관계 없이 원하는 제품을 산다고 답했다.

기업들이 이런 조치를 하는 것은 원자재 가격 상승, 인건비 상승 등으로 가격 인상이 불가피한 상황과 함께, 가격 인상에 따른 소비자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소비자 입장에서는 중량 감소를 눈치 채지 못하고 당할 정도로 교묘한 경우도 적지 않다. CNBC는 “(앞에서 보면) 같은 크기의 시리얼 상자이지만 측면을 조금 얇게 만들거나, 땅콩 버터의 경우 용기 바닥을 움푹 들어가도록 만들어 용량을 18온스(약 510g)에서 16.3온스(약 462g)로 줄였다”고 설명했다.

미국 언론들은 상품 가격보다 상품의 단위당 가격을 확인할 것, 상품 포장이 바뀐 경우 면밀히 단위 가격을 살필 것 등을 제안하고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