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여기] 신문쟁이들은 왜 정치기사를 중요하게 다루지?/유대근 사회부 기자

[지금&여기] 신문쟁이들은 왜 정치기사를 중요하게 다루지?/유대근 사회부 기자

입력 2014-09-13 00:00
수정 2014-09-13 03: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유대근 사회부 기자
유대근 사회부 기자
“도대체 왜 정치 기사는 꼬박꼬박 신문 앞면에 실리는 거야?”

툭하고 들어온 질문에 턱 하니 말문이 막혔다. 추석 전날 함께 송편을 빚던 누이가 오랜 궁금증이라며 물었다. 두 살배기 아기 엄마이자 주부인 누이는 삶과 맞닿은 경제·생활 뉴스나 육아·교육 등 사회 뉴스, 혹은 문화계 소식이 더 궁금한데 신문 지면의 ‘명당’은 온통 정치 기사가 독차지한다는, 질문을 가장한 불만이었다. 정치 뉴스 중에도 궁금한 게 있지만 선거 때 누가 공천받는지, 대통령이 어느 지역 전통 시장을 방문했는지, ‘금배지’들 사이에 하루하루 어떤 대거리가 오갔는지 등이 늘 주요 뉴스로 다뤄지는 건 이해하기 어렵다고 했다. 그리고 뾰로통한 질문 하나가 더 붙는다. “독자보다 그냥 기자들이 궁금한 점 위주로 쓰는 것 아냐?”

누이의 해석이 영 틀린 말은 아닌 듯하다. 어떤 기사를 비중 있게 다룰지 정하는 데스크(신문사 편집국 간부) 중에는 정치부를 거친 선배들이 많다. 정치인과 만남은 일상이었기에 당연히 그들의 일거수일투족에 관심이 많다.

하지만 정치 뉴스가 대접받는 현실을 ‘신문쟁이의 관심’만으로는 온전히 설명할 수 없다. 사회부 소속인 기자가 누이에게 건넨 대답은 “정치인 결정이 국민 삶에 큰 영향을 미치니까”였다. 실제 그렇다. 국회의원이 만든 법안 하나에 수많은 시민의 ‘삶의 질’이 달라진다. 현안을 두고 극단적인 대립이 일어날 때 소통과 중재로 현답을 찾아내는 것도 정치인의 몫일 테다.

그렇다면 왜 시민들은 중요한 정치 기사를 그저 지루하게만 생각할까. 정치인, 그리고 언론 잘못이 크다.

이들이 정치 뉴스를 무미건조하게 둔갑시킨다. 서민 삶과 직결된 현안이라도 정치적 이해관계 탓에 계속 이슈가 되는 게 껄끄러운 주제라면 ‘처치’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여야 간 지루한 공방 국면을 만들어 정쟁인 듯 형상화하고 언론은 이 소식을 무미건조하게 전달하면 된다. 현안의 배경과 맥락을 모두 이해할 수 없는 독자로서는 당연히 흥미가 떨어진다. “당대의 독재자는 더는 뉴스통제 같은, 눈에 보이는 사악한 짓을 할 필요가 없다. 언론이 닥치는 대로 단신을 흘려보내게 하면 된다”는 스위스 출신 영국 작가 알랭 드 보통의 지적은 우리 사회에서도 유효하다.

추석 밥상에 앉아 있으니 세월호 등 여러 현안에 피로감을 느낀다는 ‘민심’이 들렸다. 그 왜곡된 피로감을 만든 공범이 된 것 같아 아찔했던 추석이다.

dynamic@seoul.co.kr
2014-09-13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