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 돋보기] 벌레가 쏘면 얼마나 아플까?/정길상 국립생태원 생태기반연구실장

[생태 돋보기] 벌레가 쏘면 얼마나 아플까?/정길상 국립생태원 생태기반연구실장

입력 2017-10-23 22:12
수정 2017-10-23 23: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난 한가위 연휴 기간 부산 항만 컨테이너 야적장에서 발견된 남미산 ‘붉은불개미’ 소식으로 떠들썩했다. 이 개미에 대한 오해가 많이 해소됐지만 초기 보도에 ‘살인독개미’로 불려 국민들을 두렵게 했다. 도대체 독이 얼마나 세길래 ‘살인’이라는 이름이 붙게 됐을까. 이 궁금증은 나만 가진 게 아닌가 보다. 미국의 곤충학자인 슈밋은 순수한 과학적 호기심으로 몸소 여러 곤충들에게 쏘여 보며 그 고통을 등급화했다. 그는 이런 노력으로 2015년 과학계 괴짜들에게 주는 이그노벨상을 받았다. 슈밋은 고통에 등급을 매겼는데 1등급이 덜 아프고, 4등급은 가장 아픈 것을 나타낸다.
정길상 국립생태원 생태기반연구실장
정길상 국립생태원 생태기반연구실장
붉은불개미의 침은 가장 약한 1등급이다. 이 개미에 쏘인 적은 없지만 뱀허물쌍살벌에 쏘여 본 경험으로 이와 비슷한 고통이 아닐까 한다. 이 붉은불개미는 꿀벌과 달리 입으로 물고 배 끝에 달린 침으로 7~8회 정도 연속으로 찌를 수 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쏘인 후 1시간 정도 가렵거나 따끔거리고 4시간 후에 물집이 잡히며 10일가량 지나면 사라진다. 그사이 물집에 세균 감염 등이 일어나면 상태가 나빠질 수도 있다. 또 사람에 따라서 아나필락시스라고 하는 과민반응으로 위험에 처할 수도 있으니 조심해야한다.

두 번째 1.5등급에는 열대숲의 아카시아나무와 공생하는 아카시아개미가 뽑혔다. 몇 년 전 파나마 정글 숲에서 처음 본 이 개미가 너무 신기해 얼굴을 바짝 들이댔다가 머리카락 속으로 뛰어든 개미들에게 혼쭐이 난 기억이 아직도 생생하다.

2등급은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꿀벌의 침이다. 3등급에는 북미산 수확개미류가 속한다. 캘리포니아 모하비사막에서 멋모르고 엎드려 쳐다본 것이 이들이었는데 다행히 쏘이진 않았다. 또 쌍살벌류가 속한다고 하는데 위에 언급한 뱀허물쌍살벌과는 생물학적 계통이 다르다. 4등급에는 거미를 사냥하는 대모벌류가 있는데 대모벌의 생김새로 짐작건대 엄청나게 아플 것 같다.

슈밋의 경험 속에 가장 큰 고통을 줘 ‘4+’등급을 받은 곤충이 총알개미다. 작년에 코스타리카의 한 연구소를 방문했을 때 무심결에 난간을 짚자마자 무엇인가 내 왼손 가운뎃손가락을 쐈고 엄청난 고통이 밀려왔다. 현지인들은 총알개미에게 쏘였을 것이라 말했지만 그것을 확인할 용기조차 없을 정도였다.

개미와 벌처럼 집단생활을 하는 종류에게서 독침이 발달한 이유는 독침이 꿀 같은 귀중한 자원과 가족을 보호하기 위한 효과적 수단으로 진화했기 때문이다. 대개 독침은 교란되거나 공격을 받았을 때 쓰인다. 일부러 독을 가진 곤충을 괴롭힐 리는 없겠지만 만약 이들에게 쏘이는 일이 생긴다면 빨리 그리고 침착하게 의학적 처방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
2017-10-24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