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타성(惰性) 여행/서동철 논설위원

[길섶에서] 타성(惰性) 여행/서동철 논설위원

입력 2014-07-08 00:00
수정 2014-07-08 00:3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학창 시절 친구 넷이 작당해 1박2일 여행을 떠났다. 목적지는 강원도 양양. ‘제2의 인생’으로 농업경영인을 꿈꾸는 친구가 조직한 영농조합이 시험 농사를 짓고 있는 곳이다. 한계령을 넘어가기로 한 만큼 자연스럽게 점심은 오색약수터에서 산채비빔밥, 저녁은 바닷가에서 생선회를 먹는 계획을 세웠다.

그런데 오색을 지나치는 바람에 일행은 꿩 대신 닭으로 양양 남대천 하구의 식당을 찾아갔다. 남대천에서 잡은 모래무지며 피라미, 민물새우로 끓인 잡고기 매운탕은 시골스러웠지만 맛있었다. ‘잡고기’라는 표현이 미안할 지경이었다. 주인이 권유하는 대로 은어 튀김과 재첩찜도 곁들였다. 말로만 듣던 남대천 은어와 섬진강 것보다 스무 배는 큰 남대천 재첩의 맛은 감춰진 별미를 우리만 즐기는 듯한 기분에 더욱 훌륭하게 느껴졌을 것이다.

영농조합의 더덕이며 도라지 밭을 돌아보면서 저녁에도 새로운 체험을 해보기로 했다. 우리는 결국 숙소 근처의 기사문항 방파제에 앉아 짜장면을 시켰다. 물론 한두 가지 더…. 어디 가면 무엇을 해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버리니 여행은 더욱 즐거워졌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4-07-08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