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꽃샘추위’ 단상/구본영 논설고문

[길섶에서] ‘꽃샘추위’ 단상/구본영 논설고문

구본영 기자
입력 2016-02-26 18:06
수정 2016-02-26 18: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들은 각기 생활의 지혜가 담긴 월력, 이른바 ‘인디안 달력’을 갖고 있다고 한다. 테와 푸에블로족에게 2월은 ‘삼나무에 꽃바람 부는 달’이다. 1월을 ‘얼음 얼어 반짝이는 달’로 부르는 것에 비하면 왠지 봄이 살랑살랑 다가오는 느낌이 든다.

박목월 시인도 “2월의 봄은 베개 밑으로 온다”고 했다. 하지만 그래도 2월은 아직 봄은 아니다. 그런 현실을 확실히 일깨워 주기라도 하듯 꽃샘추위가 이맘때면 늘 찾아오는 것 같다. 이 불청객의 존재를 망각한 탓일까. 근년에 드물게 호된 감기를 앓다가 가까스로 헤어났다.

곰곰이 생각해 보니 심신에 이미 상당한 부하가 걸려 있는 상태에서 다시 술을 과하게 마신 게 주원인이었던 듯싶다. 삼나무에 꽃바람이 불자 봄이 온 것으로 착각하고 자제하지 못한 꼴인 셈이다. 하긴 꽃샘추위가 어디 이번 한 번으로 그치겠는가. 결정적인 순간의 절제심과 분별력은 비단 건강을 지키는 데뿐만 아니라 우리네 인생살이 도처에서 필요한 덕목일 듯하다. 문득 ‘낙타의 허리를 부러뜨리는 것은 늘 마지막 (얹는) 지푸라기’라는 서양 속담을 새삼 떠올리게 됐다.

구본영 논설고문 kby7@seoul.co.kr
2016-02-27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