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섬초처럼, 기적처럼

[길섶에서] 섬초처럼, 기적처럼

황수정 기자
입력 2025-02-11 23:51
수정 2025-02-12 00: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겨울의 제맛은 뭐니 뭐니 해도 칼바람이다. 겨우 삼십육도쯤의 체온으로 혹한을 무사히 건너고 있다는 것. 이만하면 기적이지, 가만히 덧창을 여민다.

내게 이 계절의 묘미는 밥상 위에 있다. 엄동에 푸른빛으로 버티고 있는 기적들을 쓱쓱 비벼 먹는다. 비금도 섬초, 남해초, 포항초. 겨울 시금치들은 어째서 제 살았던 동네의 이름까지 온몸으로 품었을까. 바닷가 성긴 볕을 어떻게 움켜 삼켰길래 뿌리 끝까지 속속들이 달큰할까. 섬초를 다듬고 있으면 한 번 가본 적 없는 비금도가 궁금해서 안달이 난다. 비금도는 햇볕이 달겠지. 봄이 오면 비금도에 가야지.

해풍에 맞서지 않고 그저 품어버려서 섬초는 구석구석 단물. 갯바람에 덤비지 않고 차라리 삼켜버려서 새파란 세발나물은 마디마디 흥건한 갯내음. 뜨건 물에 살짝 스쳐도 해삼, 멍게 냄새를 풀어낸다. 제 앉았던 자리에서 먼 바다의 무늬들까지 쓸어안았다.

덤비지 않고 버티는 삶은 섬초 뿌리 같아질까. 그렇게 달큰해질 수 있다면, 어디 한번 섬초처럼. 그렇게 넉넉해질 수 있다면, 나도 한번 세발나물처럼.
2025-02-1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