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국무부 부장관 “北과 직접대화 가능성 배제안해…최악도 대비”

美국무부 부장관 “北과 직접대화 가능성 배제안해…최악도 대비”

입력 2017-10-17 14:51
수정 2017-10-17 14: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틸러슨 이어 국무부 2인자도 직접대화 언급…트럼프 순방 앞두고 주목

존 설리번 미국 국무부 부장관은 17일 “결국 우리는 (북한과의) 직접 대화 과정의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일본 도쿄를 방문 중인 설리번 부장관은 이날 스기야마 신스케(杉山晋輔)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과 회동한 뒤 이같이 밝혔다고 로이터와 AP 통신 등이 보도했다.

설리번 부장관은 “국무부의 포커스는 북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외교에 맞춰져 있다”면서도 “만약 외교가 실패할 경우 우리는 일본과 한국의 동맹들과 함께 최악의 사태에 대비해야만 한다”고 말했다.

최악의 사태를 대비해야 한다는 전제를 달기는 했지만, 국무부 ‘2인자’가 북한과의 직접 대화 가능성을 공개 언급한 것은 의미가 작지 않아 보인다.

미국과 북한의 직접 대화 가능성은 지난달 30일 “북한과 두세 개 정도의 채널을 열어두고 있다”는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의 공개로 기대를 모았으나, 다음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리틀 로켓맨’(김정은)과 협상을 시도하느라 시간을 낭비하고 있다”고 일축하면서 수면 아래로 내려갔다.

그러나 내달 초 한국, 중국, 일본을 포함한 트럼프 대통령의 첫 아시아 순방을 목전에 두고 고위급 당국자가 직접 대화론을 다시 꺼내 든 것은 미 행정부 내 대북정책 혼선을 수습하고 북한과의 협상을 실제 옵션으로 검토 중이라는 뜻으로 받아들여진다.

앞서 마이크 펜스 부통령도 16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아소 다로(麻生太郞) 일본 부총리 겸 재무상과 만나 “미국은 외교적이고 경제적인 수단을 통한 평화적 해법과 오랫동안 추구해온 핵 없는 한반도라는 목표의 달성을 희망하면서, 평양의 정권을 겨냥해 전방위적인 미국의 힘을 계속 쏟아부을 것”이라며 외교 수단을 강조했다.

북한이 대화 의지를 보이기는커녕 위협을 멈추지 않는 상황에서 미 행정부 고위인사의 잇따른 ‘유화 발언’이 나왔다는 점도 주목된다.

김인룡 유엔주재 북한대표부 차석대사는 이날 유엔 군축위원회에서 “한반도 정세는 일촉즉발의 상황에 와 있다. 핵전쟁이 언제라도 터질 수 있다”며 “미국의 대북 적대정책과 핵 위협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으면 우리는 어떤 상황에서도 핵무기와 탄도미사일을 결코 협상 테이블에 올리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고수한 바 있다.

이날 설리번 부장관과 만난 스기야마 차관은 일본이 ‘모든 옵션’을 올려놓고 있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을 지지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하면서도 중국, 러시아와의 협력을 통한 외교적 해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고 AP가 전했다.

설리번 부장관과 스기야마 차관은 18일 서울에서 한미일 3국 외교차관 협의회를 열어 북한 문제에 대한 대화를 이어간다.

신복자 서울시의원, ‘서울시립 아동힐링센터 개소식’ 참석

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신복자 의원(국민의힘, 동대문구 제4선거구)은 지난 1일 서울시립아동힐링센터(동대문구 답십리로69길 106) 개소식에 참석, 서울시의 아동에 대한 심리·정서 공공치료 기반 마련에 대한 기대와 환영의 뜻을 전했다. 서울시 아동양육시설 내 전체 아동 1591명 중 약 43%에 해당하는 679명이 정서적·심리적 집중 치료가 필요한 상황에서, 이번 센터 개소는 공공 차원의 본격적인 대응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서울시립 아동힐링센터는 ADHD, 우울, 외상 경험 등으로 치료가 필요한 아동을 대상으로 최대 6개월간 입소 치료를 제공하며, 심리상담사, 사회복지사,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놀이치료사 등 전문가들이 협력하여 맞춤형 비약물 치료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치료 종료 후 아동은 원래 생활하던 양육시설로 귀원하거나, 재입소할 수 있다. 신 의원은 축사에서 “서울시아동힐링센터는 단순한 보호시설을 넘어, 상처 입은 아동의 마음을 치유하고 회복의 기회를 제공하는 공간”이라며 “이곳에서 아이들이 자기 자신을 이해하고, 다시 일어설 수 있는 힘을 키워나가길 진심으로 바란다”라고 전했다. 이어 “서울시가 정서적 돌봄을 제도화하고, 전문가의
thumbnail - 신복자 서울시의원, ‘서울시립 아동힐링센터 개소식’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