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폭로 왜? ② 진위는? ③ 장부는?
‘성완종 리스트’가 국정 전반을 삼키는 형국이다. 야당의 특별검사 요구에 이어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까지 검찰에 “명운을 건” 수사를 당부했다. 대검찰청은 12일 오후 긴급 간부회의를 열고 ‘성완종 리스트 특별수사팀’ 구성을 결정했다. 이번 수사의 주요 포인트를 짚어봤다.거명된 인사 대부분이 현 정권의 핵심 실세들이라는 점에서 폭로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은 지난 9일 자살을 앞두고 평소 친분 있던 기자와 통화 중 ‘신뢰 관계’와 ‘배신감’ 등을 자주 언급했다. 스스로 박근혜 정권 창출에 공헌했다고 자부하지만 ‘MB(이명박)맨’으로 낙인 찍혀 검찰 수사까지 받게 되자 상실감과 배신감에 폭로를 결심했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또 이번 수사 과정에서 평소 자신이 챙겨 줬던 유력 인사들에게 구명을 시도했지만 외면당한 것이 폭로를 부채질했을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자살 장소가 청와대 뒤쪽인 북한산 형제봉이라는 것도 이 같은 원망이 반영된 게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이번 사건의 궁금증은 단연 성 전 회장의 폭로와 메모지 내용의 진위 여부다. 성 전 회장이 돈을 줬다고 주장한 인물들은 모두 “사실 무근” “지어낸 이야기” 등으로 의혹을 완강히 부인하고 있다. 하지만 여론은 “죽으러 가는 사람이 설마 거짓말을 했겠느냐”는 분위기다. 당장 여당 내부에서 “정권이 날아갈 사안”이라는 반응이 나올 정도다. 다만, 돈을 줬다는 사람은 이미 숨졌고 돈을 받았다는 사람 모두 의혹을 강력히 부인하고 있어 실체적 진실이 드러날지는 불투명하다.
이번 의혹과 관련한 별도의 장부가 존재할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검찰 또한 성 전 회장이 유서를 남기고 직접 언론에 전화해 폭로하고 또 폭로 내용을 뒷받침할 수 있는 메모까지 작성했다는 점에서 별도의 장부가 존재할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일각에서는 성 전 회장이 여야를 가리지 않고 로비를 벌였다는 주장도 있어 실제 장부가 등장하면 파장은 일파만파로 번질 전망이다.
박성국 기자 psk@seoul.co.kr
2015-04-13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