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네명중 한명은 사이다 복수해

직장인 네명중 한명은 사이다 복수해

입력 2016-05-04 08:17
수정 2016-05-04 08: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직장인 4명 중 1명은 직장생활 중 ‘사이다’처럼 속 시원한 복수를 해본 적 있으며 10명에 9명꼴로 고구마같은 답답한 상황을 겪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www.saramin.co.kr 대표 이정근)은 4일 직장인 1038명을 대상으로 ‘직장생활 중 ‘사이다’같은 복수 경험’을 조사한 결과, 24.7%가 ‘있다’라고 답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르면 이들이 복수한 대상은 ‘직속상사’(57.8%, 복수응답)가 1순위였다. 다음으로 ‘동료’(33.2%), ‘CEO 및 임원’(19.9%), ‘회사 자체’(10.9%), ‘부하직원’(8.6%), ‘거래처’(7%) 등의 순이었다.
사이다처럼 복수한 방법 1위는 47.3%(복수응답)가 선택한 ‘연락, 질문 등을 무시하기’였다. 계속해서 ‘직접적으로 욕이나 막말하기’(16.8%), ‘퇴사하게 만들기’(15.2%), ‘업무 지시관련 짜증날 만큼 질문하기’(14.5%), ‘단점 소문 내 나쁜 평판 만들기’(14.5%), ‘중요한 사안을 일부러 전달 안 하기’(12.9%), ‘칭찬하는 척하며 단점 꼬집기’(12.5%), ‘하기 싫은 일 떠넘기기’(10.9%) 등이 있었다.
상대에게 복수를 한 이유로는 ‘참자니 스트레스가 너무 쌓여서’(62.1%, 복수응답)가 가장 많았다. 이어 ‘억울한 건 풀고 넘어가고 싶어서’(42.2%), ‘잘못을 고쳐주고 싶어서’(41%), ‘상대도 나한테 그렇게 하고 있어서’(21.5%) 등의 순이었다.
그렇다면, ‘고구마’같은 답답함을 느끼는 상황은 얼마나 될까?
대부분인 94.8%는 평소 회사생활을 하며 답답한 상황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에서 느끼는 답답한 상황으로는 ‘불합리한 지시에 따라야 할 때’(52.5%, 복수응답)가 1위였다. 이어 ‘내 잘못이 아님에도 질책을 받을 때’(51%), ‘업무협조를 제대로 해주지 않을 때’(42.8%), ‘남의 업무를 떠맡을 때’(42.5%), ‘사생활에 대해 간섭 받을 때’(29.1%), ‘업무 중 의견 충돌이 있을 때’(28.8%), ‘사소한 실수에도 큰 질책을 받을 때’(27.1%) 등의 답변 순이었다.
답답함이 발생하는 원인으로는 ‘비체계적 업무 프로세스’(61.4%, 복수응답)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이어서 ‘사고방식, 가치관 충돌’(54.3%), ‘구시대적 기업문화’(49.2%), ‘수직적 소통 만연’(33.1%), ‘세대 차이’(15.7%) 등이 있었다.
하지만, 답답한 상황이 발생해도 절반 이상(57.7%)은 ‘그냥 참는다’라고 응답했다.
이유로는 ‘어차피 해결되지 않아서’(75.4%, 복수응답), ‘일을 크게 만들고 싶지 않아서’(60.7%), ‘갈등이 커질 것 같아서’(49.3%), ‘이미지, 평판에 영향 미칠 것 같아서’(27.8%), ‘인사평가 등에서 불이익을 볼 것 같아서’(18%) 등을 선택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